수시이월 대폭 상승에도, 경쟁률 '상승'


[베리타스알파=강태연 기자] 30일 오후6시 최종 마감한 지스트대학의 2020정시경쟁률은 5.71대1로 집계됐다. 수시이월인원 60명 가량을 포함해 총 80명 내외 모집에 457명이 지원한 결과다. 올해는 최근 6년 중 수시이월인원이 가장 많아 경쟁률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 지난해 2019정시는 최종 5.32대1(모집60명/지원319명)로 마감했다.

지스트대학은 특별법에 의해 설립된 과학기술원으로 수시 6회지원 제한은 물론 정시 모집군 제한에서 자유로운 특징이다. KAIST DGIST와 함께 수험생들에겐 ‘추가지원카드’로 여겨지는 대학이다. 올해 정시를 실시하는 3개 과기원은 이중등록 금지규정 적용도 받지 않아 타 대학 수시합격자도 과기원 정시지원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매년 높은 경쟁률을 형성하는 배경이다. 이들 대학은 '군외대학'으로 분류, 반대로 과기원 수시에 합격하더라도 일반대 정시에 지원할 수 있다. 같은 이공계특성화대학이지만 포스텍과 UNIST는 정시모집을 실시하지 않는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0대입 #2020정시경쟁률 #지스트대학 #2020지스트대학정시경쟁률 #GIST대학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308286&utm_source=TISTORY&utm_medium=social



원서접수 26일부터 30일까지


[베리타스알파=강태연 기자] 지스트대학이 2020정시에서 활용하는 과탐 변환표준점수를 입학처 홈페이지르 통해 공개했다. 변환표준점수는 수능 백분위점수 또는 표준점수를 대학별 점수체계를 통해 변환해 활용하는 점수다. 탐구영역 선택과목에 따른 유불리 보정을 위해 수능 성적표의 표점/백분위를 단순 반영하지 않고 일정 점수를 부여해 적용하는 것이다.

대학들은 탐구영역의 유불리 문제를 상쇄하기 위해 수능 성적표상 제시된 표준점수/백분위를 그대로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백분위에 따라 일정 점수를 부여해 적용하고 있다. 2019학년 수능에서 사탐의 경우 한국지리 세계사 표점 만점이 69점인 반면, 생활과윤리는 63점으로 격차가 있었다. ‘상대적’점수인 표점의 특성상 만점이 달리 나올 수 있는 상황에서 단순 표점을 반영하게 되면 학생 개개인의 학업역량/노력과는 관계없이 과목 선택에 따른 ‘복불복’ 유/불 리가 발생하게 된다. 대학들이 이를 조정하기 위해 그나마 표점부다는 유/불 리가 덜한 백분위를 활용해 다시금 점수체계를 설정하는 것이 변표의 본질이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지스트대학 #GIST대학 #2020수능과학탐구 #변환표준점수 #2020대입 #지스트정시 #지스트변환표준점수 #2020GIST정시 #2020이공계특성화대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306732&utm_source=TISTORY&utm_medium=social



일반 12.9대1

고른기회 '상승', 일반 학교장추천 특기자 '하락'


[베리타스알파=손수람 기자] 10일 오후6시 2020수시모집을 마감한 지스트대학은 최종경쟁률 13.92대1(정원내 모집178명/지원2477명)을 기록했다. 지난해 최종경쟁률 14.81대1(180명/2666명)보다 소폭 하락한 결과다. 지원자가 189명 줄었다. 일반 학교장추천 특기자 모두 지원자 수가 감소하며 경쟁률이 하락했다. 반면 고른기회는 지원자가 늘면서 경쟁률이 상승했다. 전형별로 일반 12.9대1, 학교장추천 16.15대1, 고른기회 14.53대1, 특기자 15.5대1을 기록했다.

지스트대학을 비롯한 KAIST DGIST UNIST의 특별법에 의해 설립된 과학기술원은 수시6회지원 제한 등 대교협의 대입제한사항에서 자유롭다. 수시에서 일반대 6곳에 지원했더라도 과기원은 지원횟수에 관계없이 지원이 가능하다. 수시원서접수 기간도 대학이 자율로 정할 수 있다. 다만 수험생들의 편의를 위해 일반대와 접수일정을 맞추는 편이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0대입 #2020수시경쟁률 #GIST대학 #2020지스트대학수시경쟁률 #광주과학기술원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68690&utm_source=TISTORY&utm_medium=social



4/27 부산, 6/1 대구, 6/15 광주, 6/22 대전


[베리타스알파=유수지 기자] KAIST GIST대학 DGIST UNIST 등 4대 과기원이 공동 2020입학설명회를 연다고 7일 밝혔다. 내달27일 부산을 필두로 6월1일 대구, 6월15일 광주, 6월22일 대전의 일정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확정된 시간과 장소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KAIST 관계자는 "구체적인 정보는 권역별 설명회 일시 이전 계속해서 업데이트 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4대 과기원의 실질적인 입학정보를 한 자리에서 접할 수 있는 만큼, 과기원 진학을 준비하고 있는 수험생/학부모들에게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번 설명회는 과기원 공동설명회이기 때문에 같은 이공계대학인 포스텍은 참여하지 않는다. 일반대학으로 분류되는 포스텍도 '2020 찾아가는 이공계 진로진학 설명회'와 '고교방문 설명회' 일정을 입학팀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있으므로 별도의 참석을 진행할 수 있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베리타스 알파 기사 전문보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46245&utm_source=TISTORY&utm_medium=social


면접 18일.. 개인별 시간 확인 필수


[베리타스알파=유수지 기자] GIST대학이 2019정시 '면접전형 안내서'를 14일 공개했다. 면접 전형은 18일 실시한다. 수험생들은 개인별 면접 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확인이 필요하며 고지된 일정은 변경이 불가능하다. 면접전형 안내서는 면접 준비물부터 진행 과정까지 필수적인 GIST대학 면접 정보를 담고 있다. GIST대학 면접을 준비하는 수험생이라면 필히 참고해야 할 자료다. 

최초합격자는 25일 발표한다. 합격자들은 30일부터 2월1일 내 등록을 마쳐야 한다. 이어 미등록충원합격자 발표는 2월2일부터 14일 오후9시까지 이어진다. 15일 등록마감한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베리타스 알파 기사 전문보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41057&utm_source=TISTORY&utm_medium=social




원서접수 29일부터 내년1월3일까지


[베리타스알파=유수지 기자] 올해 GIST대학의 정시 원서접수는 29일부터 내년 1월3일까지다. 서류도 같은 일정에 제출해야 한다. 서류전형 합격자 발표는 1월14일 오후6시로 예정돼있다. 최종합격자는 1월25일 발표된다. 최초합격자는 1월30일부터 2월1일 이내 등록을 마쳐야 한다. 추가합격자는 2월2일부터 14일 중 발표된다. 추가합격자는 2월15일까지 등록을 마쳐야 한다. 


2018정시 경쟁률은 12.32대 1을 기록했다. 31명 모집에 382명이 지원한 결과다. 2017정시 경쟁률 8.74대 1(38명/332명)보다 상승세가 뚜렷했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면접.. 30일부터 내달 2일까지


[베리타스알파=유수지 기자] GIST대학이 '2019면접전형 안내서'를 24일 공개했다. 면접 전형은 30일부터 내달 2일까지 진행한다. 수험생들은 개인별 면접일과 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확인이 필요하며 고지된 시간은 변경이 불가능하다. 면접전형 안내서는 면접준비물부터 각 전형의 면접 시간까지 필수적인 GIST대학 면접 정보를 담고 있다. GIST대학 면접을 준비하는 수험생이라면 필히 참고해야 할 자료다.  

GIST대학은 올해 수시에서 180명을 모집한다. 전형별 모집인원은 일반 115명 학교장추천 40명 고른기회 15명 특기자 10명 등이다. GIST대학은 무학과선발을 실시, 신입생 전원을 기초교육학부 단일 모집단위로 선발한다. 1학년까지 기초교육학부 소속으로 공부한 뒤 2학년 이후 물리 화학 생명과학 전기전자컴퓨터 기계공학 신소재공학 지구환경공학 등 심화전공을 선택하게 된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GIST대학이 2019 면접전형 안내서를 24일 공개했다. 면접 전형은 30일부터 내달 2일까지 진행된다. /사진=GIST대학 제공

<베리타스알파 기사 전문보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31735

[베리타스알파=김경 기자] ‘한국의 칼텍’ GIST는 올해 25주년을 맞았다. KAIST에 이어 과학기술발전의 국가적 과제를 수행할 과학기술원 지위로 출발한 이래 GIST 특유의 융합교육과정은 이후 과기원 체제로 합류한 DGIST UNIST가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 벤치마킹할 만큼 소수정예교육의 롤모델로 인정받고 있다. GIST를 이끄는 핵심동력인 교수 역량은 올해로 4년째 세계 톱3에 들 만큼 뛰어나다. 과기원의 대표로 자리잡은 KAIST나 공격적 홍보로 존재감을 부각해온 신흥 DGIST와 UNIST에 비해 일반인들의 인지도는 낮지만, 과학기술계의 평판과 교육역량은 ‘한국의 칼텍’으로 불리우는 것만 봐도 만만치 않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문승현 GIST 총장은 ‘세계 톱3’에 빛나는 GIST의 교수역량을 상징하는 인물이다. 일찌감치 세계적 흐름에 대한 안목과 평생 연구자로 살며 갖춘 치밀함을 바탕으로 차분한 인상처럼 GIST가 만드는 21세기를 향한 조용하지만 거침없는 정중동의 흐름을 이끌고 온 셈이다. /사진=GIST 제공

<베리타스알파 기사 바로가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18980

[베리타스알파=김경 기자] 고도경 GIST대학장(GIST 물리/광과학과 교수)은 한국광학회와 한국물리학회에서 평의원과 이사, 광학 및 양자 전자학 분과 위원장을 지낸 데서 관련분야 영향력이 읽힌다. 서울대 물리학과 학석박사를 거쳐 한국원자력연구원 책임연구원을 지내다 2003년부터 GIST 교수로서 인연을 맺고 있다. 고등광기술연구소 광공학연구부장, GIST 광과학기술학제학부장, 영국 맨체스터 대학교 레버흄 초빙교수, GIST 물리전공 책임교수, 한국연구재단 전문위원을 거쳐 2015년 3월부터 GIST대학장으로 자리하고 있다. 한국광학회 부회장 등의 주요학회 활동에 칼텍과의 1:1 공동연구에도 참여, 대한민국을 대표할 물리학자로서의 소임도 어깨에 짊어지고 있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고도경 GIST대학장 /사진=GIST 제공

<베리타스알파 기사 바로가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18992

[베리타스알파=권수진 기자] GIST대학은 올해 수시 전형방법의 큰 틀을 그대로 유지한 가운데 지난해 선택 제출하도록 한 자기소개서(이하 자소서) 증빙서류를 올해 폐지하는 등 일부 변화를 줬다. 불필요한 자료 제출을 방지하고 수험생의 부담을 덜어낸 수요자 친화적 조치가 돋보인다.

올해 수시 모집인원은 180명(90%) 내외(이하 명)로 지난해와 동일하지만 세부 전형별 모집인원에는 다소 변동이 있다. 일반전형의 경우 지난해 125명(62.5%)에서 올해 115명(57.5%)으로 10명 줄어든 반면, 학교장추천전형(이하 학교장추천)은 지난해 30명(15%)에서 올해 40명(20%)으로 10명 늘어났다. 일반전형의 감소분이 고스란히 학교장추천으로 옮겨갔다. 나머지 전형은 고른기회전형(이하 고른기회) 15명(7.5%), 특기자전형(이하 특기자) 10명(5%)으로 지난해와 동일한 모집인원을 유지한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GIST대학은 올해 자소서 증빙서류를 폐지하며 수요자 부담을 완화한다. 학교장추천 모집인원을 10명 더해 일반고 문호를 확대한 특징도 있다. 매년 영재학교/과고 출신 입학생들이 급증하고 있지만 학년이 올라갈수록 일반고 출신들의 GPA가 눈에 띄게 향상되고 있다는 학교 측 설명이다. 사진은 GIST대학 내 LG과학도서관에서 공부하고 있는 학생들. /사진=GIST대학 제공

<베리타스알파 기사 바로가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1898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