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대학 특기자전형 폐지 주목해야 ..우선선발 변동사항 확인


[베리타스알파=강태연 기자] 2021 영재학교 입시를 겨냥한 수험생들은 우선 올해의 환경 변화를 주목해야한다. 영재학교는 더이상 의대진학의 채널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모든 영재학교에서도 요강을 통해 의대진학 희망자를 거부하고 있는 데다 의대입시 지형에서도 문호가 좁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2019학년 서울과고에서 의대진학자가 31명이나 배출된 것을 통해 의대진학이 가능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결정적으로 영재학교 진학은의대입시 준비에 적합하지 않다. 학종과 교과의 경우 최상위권 학생들이 모인 곳에서 성적을 유지하는 것도 어려울 뿐아니라, 추천서를 작성해주지 않아 자체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의대 지원폭을 줄인다. 과거 영재학교 학생들이 의대진학의 루트로 알려졌던 특기자전형의 경우 2021대입전형 시행계획상 폐지가 예고된 상태며, 논술도 매년 비중이 줄고 있다. 정시는 영재학교 특성상 재수가 불가피하다는 점에서 불이익을 안을 수밖에 없다. 의대입시의 불리함은 물론 영재학교 자체적으로 추천서를 작성해주지 않거나 교육비/장학금 환수, 수상실적 삭제 등을 통해 의대진학자에게 불이익을 부여하고 있다. 영재학교뿐 아니라 과고에서도 의대진학이 설립취지와 운영목적을 모두 거스른 다는 점에서 의대진학을 희망학생들은영재학교/과고로의 진학을 신중하게 선택해야 한다.

지금까지 실시한 영재학교 입시에서의 변동사항과 이슈도 숙지할 필요도 있다. ‘우선선발’의 경우 입시에 영향을 주는 큰 요인 중 하나로, 지난해의 경우 2019학년까지 우선선발을 실시하지 않던 인천영재가 2단계에서 우선선발을 실시했다. 2021학년의 경우 서울과고 지역인재 우선선발 제도의 확대가 예고된 상황이다. 사회통합전형에서는 경기과고가 지필평가 등의 시험을 치르지 않는 추천관찰전형을 2019학년부터 도입했다. 이슈로는 영재학교 합격 이후 3학년2학기를 불성실하게 보냈다고 판단한 학생들의 합격취소 사례 등이 있다.

영재학교 입시의 첫 관문인 서류평가는 대부분 자소서 학생부 추천서 등을 종합평가하는 방식이다. 영재학교 관계자들은 자소서를 통해 학생이 직접 자신의 이야기를 전하는 게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사실이 아닌 내용으로 과장하기 보다는 진솔하게 작성하는 것이 입학담당관에게 보다 신뢰를 줄 수 있다는 설명이다. 구체적인 사실 위주로 기록하되 단순히 나열하지 말고 변화와 성장과정이 드러나야 한다는 조언을 덧붙이기도 했다. 추천서의 경우 무엇보다도 학생을 잘 아는 교사가 작성하는 것이 효과적일 가능성이 높다. 학생과 교류했던 구체적인 사실을 바탕으로 기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1영재학교 #영재학교입시 #한국영재 #광주과고 #대구과고 #경기과고 #서울과고 #대전과고 #인천영재 #세종영재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영재학교 중 한국영재 압도적 1위.. 과고 기준 경북 제주 전남 순 톱3

 

[베리타스알파=권수진 기자] 2019학년 과고/영재학교 중 이공계특성화대 진학률이 가장 높았던 곳은 어디일까. 과고/영재학교는 ‘이공계특성화고’로 불릴 만큼 과학인재 육성을 겨냥해 설립된 학교 유형이다. 그만큼 일반고에 비견하기 어려울 만큼 ‘카포지디(KAIST 포스텍 GIST대학 DGIST)’의 이공계특성화대로 진학하는 비율이 높은 편이다. 

학교알리미 기준 고3 재학생, 재수생(과고는 고2 조기졸업 자원 합산)을 기준으로 대입자원을 계산해 전국 8개 영재학교, 20개 과고를 대상으로 카포지디 진학률을 산출한 결과 영재학교에서는 한국과학영재학교(한국영재), 과고에서는 경북과고가 가장 설립취지에 부합하는 진학실적을 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영재는 116명의 대입자원 중 61.2%인 71명이 카포지디로 진학했다. 과고 중 가장 높은 진학률을 보인 경북과고는 30명 중 17명이 진학해 56.7%였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49960&utm_source=TISTORY&utm_medium=social

 

[단독] 과고/영재학교 ‘진학성향 잣대’ 2019 카포지디 진학률, 한국영재 1위 - 베리타스알파

[베리타스알파=권수진 기자] 2019학년 과고/영재학교 중 이공계특성화대 진학률이 가장 높았던 곳은 어디일까. 과고/영재학교는 ‘이공계특성화고’...

www.veritas-a.com

중1부터 지원가능.. 지난해 경쟁률 11.73대1


[베리타스알파=손수람 기자] 한국과학영재학교(이하 한국영재)는 올해 신입생 정원내 120명 내외와 정원외 7% 이내를 모집한다. 올해 전형방법의 변화가 있다. 지난해까지 2단계 전형만으로 20명 이내의 우선선발을 실시했지만 올해부터 단계별로 우수자를 선발할 수 있다. 3단계로 진행되는 전형의 매 단계마다 우수자를 20명 이내로 선발정원에 포함하는 것이 가능한 셈이다. 4월4일부터 10일까지 원서접수를 실시해 1단계 학생기록물평가, 2단계 창의적 문제해결력평가, 3단계 영재성 다면평가를 거쳐 7월15일 최종합격자를 발표하는 일정이다. 

1991년 개교한 부산과고가 전신인 한국영재는 2003년 국내최초 영재학교로 1기를 모집해 올해 18기를 모집한다. 2009년 KAIST 부설로 전환하면서 상당수가 KAIST로 진학하고 있다. 2018학년 KAIST 진학실적은 전국1위다. 대입자원 125명 가운데 61명이 KAIST에 진학했다. 서울대 등록자수도 적지 않다. 2018학년 대입에서 수시22명 정시1명 등 23명의 서울대 등록자를 배출하며 전국순위로 19위에 올랐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베리타스 알파 기사 전문보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45663&utm_source=TISTORY&utm_medium=social


'서울대 등록자' 서울 경기 대전 톱3 .. ‘의대진학 의심’ 서울 대전


[베리타스알파=손수람 기자] 전국 8개 영재학교 가운데 이공계 영재육성의 설립목적에 부합한 교육성과를 내는 학교는 어디일까. 가장 확실하게 판단할 수있는 잣대는 ‘서울대 진학실적’과 ‘설카포지디유 진학률’이다. 서울대의 수시선발은 모두 학종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고교들의 경쟁력을 파악할 수 있는 기준이 된다. 설카포지디유 진학률 역시 서울대를 포함해 이공계특성화대학을 망라했다는 점에서 영재학교의 설립취지에 맞는 교육성과가 입증하는 자료가 된다. 영재학교들의 진학성향을 판단하는 잣대가 될 수 있는 만큼 의대진학 난맥상까지도 살필 수 있다. 설카포지디유 진학률이 낮은 영재학교들은 상대적으로 의대진학을 선택한 학생들이 많았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2018학년 기준으로 서울대 등록실적이 가장 우수했던 학교는 서울과고였다. 수시51명과 정시6명 등 57명의 서울대 등록자를 배출했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베리타스 알파 기사 전문보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42646&utm_source=TISTORY&utm_medium=social


[베리타스알파=윤은지 기자] 한국과학영재학교는 2019학년 신입학전형 최종 합격자 124명을 16일 학교 홈페이지를 통해 발표했다. 한국영재에 따르면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합격자 비율은 67%(83명)로 나타났다. 시도별 합격자는 서울 38.7%(48명), 경기 25.8%(32명), 부산 17.7%(22명) 순으로 분포했다. 합격자 성별은 남학생 110명, 여학생 14명이며, 학년별로는 3학년이 91%(110명)로 가장 많았고, 2학년 8%(10명), 고등학생 1%(1명)로 집계됐다. 합격결과는 소속 학교에도 공문으로 통지한다. 등록금에 관한 사항은 별도 공지하며, 기간 내 납부해야 한다. 우선선발 합격생에게는 입학 후 1년간 전원 장학금이 지급된다.  

1단계 서류평가와 2단계 영재성 검사, 3단계 영재성 캠프를 모두 통과해 합격 통지를 받았더라도 마지막 관문을 소홀히 해선 안 된다. 합격자들은 1월 실시하는 ‘입학전교육’ 참가 시 학생부를 반드시 제출해야 한다. 과고를 비롯한 나머지 고교유형에 비해 이른 입시를 진행해 1학기에 모든 일정이 마무리되는 영재학교 입시 특성상 합격자 발표 이후 남은 중학교 생활을 소홀히 할 것을 우려한 것이다. 지난해 불성실한 2학기 학교생활로 영재학교에서 ‘합격취소’ 사례가 나온 만큼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과학영재학교가 2019학년 신입학전형 최종합격자를 16일 발표한다. 합격자는 우선선발 20명 이내를 포함해 정원내 일반전형 120명 내외, 정원외 약 8명(정원의 7% 이내)이다. /사진=한국과학영재학교 제공

<베리타스알파 기사 전문보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2162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