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한대 고대 성대 지스트대학 톱10..록펠러대 세계 1위, MIT 스탠포드 톱3


[베리타스알파=강태연 기자] 논문의 질을 기반으로 세계대학순위를 매기는 라이덴랭킹에서 UNIST가 세계 224위로 국내1위였다. 지난해 179위에 비해서는 45계단 하락한 수치다. 올해 세계순위 평가 대상 대학은 1176개교로 지난해 963개교에서 213개교 확대됐다. UNIST에 이어 포스텍(578위) 세종대(592위) 순으로 톱3였다. 포스텍은 지난해보다 101계단, 세종대는 12계단 하락했다. 지난해 톱3에 위치했던 KAIST가 전년 대비 127계단 하락해 4위로 내려가고, 비교적 하락폭이 적은 세종대가 3위로 올라선 모습이다.

톱3에 이어 KAIST(643위) 울산대(777위) 서울대(818위) 한양대(850위) 고려대(853위) 성균관대(860위) 지스트대학(867위) 순으로 톱10이었다. 올해 새롭게 라이덴랭킹에 이름을 올린 국내대학을 제외하면 모든 대학의 순위가 하락했다. 올해 라이덴랭킹에 이름을 올린 국내대학은 총44개교로, 전년 대비 9개교 확대됐다.

세계 상위대학으로 살펴보면 올해 1위는 록펠러대다. 상위10%논문 비율은 30.4%로 전체 대학 가운데 유일하게 30%대를 기록했다. 이어 MIT(25.7%) 스탠퍼드대(23.8%) 프린스턴대(23.3%) 하버드대(22.6%) 순의 톱5다. 올해의 경우 톱11까지 모두 미국 대학이 차지한 특징이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0라이덴랭킹 #세계대학평가 #록펠러 #MIT #스탠퍼드 #프린스턴 #UNIST #포스텍 #세종대 #KAIST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홍콩과기대 난양공대 PSL ‘세계 톱3’


[베리타스알파=강태연 기자] 25일 영국의 타임즈고등교육이 발표한 ‘2020 세계신흥대학순위(THE Young University Rankings 2020)'에서 KAIST가 세계5위로 3년 연속 국내대학 정상에 올랐다. 세계순위에서는 한 계단 상승했다. 이어 3년연속 세계8위를 기록한 포스텍, 세계17위 UNIST까지 국내대학 톱3이자 세계톱20 내에 자리한 대학이다. 세계톱20에는 들지 못했지만 순위권 내에 이름을 올린 국내대학은 지스트대학(68위) 울산대(101-150위) 아주대(201-250위) 한림대(301-350위) 인천대(301-350위)다.

세계순위에서는 홍콩과기대가 3년연속으로 세계1위 자리를 지켰다. 지난해 2위를 기록한 로잔공대는 올해 개교 50년이 넘어가면서 평가대상에서 제외됐다. 로잔공대가 빠지면서 지난해 3,4위에 위치했던 난양공대(싱가포르)와 PSL(프랑스)가 그대로 2,3위로 올라서면서 새로운 톱3를 형성했다. 세계4위에는 지난해 7위를 기록한 성안나고등과학원(이탈리아)이 이름을 올렸다. 이어 전년 보다 한 계단 올라온 KAIST까지가 톱5다. 올해 세계톱20 내에는 지난해 톱20에 들지 못했던 파리대(프랑스) 앤트워프대(벨기에), 퀸즐랜드공대(호주), 캔버라대(호주) 4개교가 새롭게 진입했다. 특히 파리대의 경우 지난해 세계신흥대학순위권 밖이었다. 캔버라대의 경우 지난해 34위에서 올해 18위로 16계단 상승한 모습이다.

개교 50년을 넘기지 않은 신흥대학을 대상으로 하는 ‘신흥대학 순위’는 2020년 순위산정 대학범위를 또 한 번 확대했다. 2012년부터 2015년까지는 100개교, 2016년 150개교, 2017년 200개교, 2018년 250개교, 2019년 351개교, 2020년 414개교 순으로 꾸준히 순위공개 대학을 늘리고 있다. 올해 범위가 확대되긴 했지만 순위에 진입한 신규 국내대학은 없었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0THE세계신흥대학순위 #국내대학순위 #KAIST #포스텍 #UNIST #지스트대학 #울산대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500위 이내’ 13개대학.. ‘국가별 순위’ 한국 세계9위


[베리타스알파=손수람 기자] 저명한 자연과학 학술지 네이처(Nature)가 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국내 교육/연구기관 가운데 서울대의 연구경쟁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됐다. 지난달 30일 네이처는 ‘2020 네이처 인덱스 교육기관 순위(2020 Nature Index-Academic)’를 공개했다. 네이처 인덱스 교육기관 순위는 기업을 제외한 교육/연구기관이 평가대상이다. 세계순위는 500위까지 제공된다. 국내 교육기관 가운데선 13개기관이 500위 안에 이름을 올렸다. 세계58위로 국내1위를 차지한 서울대에 이어 KAIST(70위) 연세대(147위) 성균관대(152위) UNIST(160위) 순으로 톱5였다.

이후 포스텍(165위) 고려대(210위) 한양대(250위) 지스트대학(390위) 이화여대(399위) 경희대(430위) 부산대(459위) 중앙대(473위)까지 세계순위를 알 수 있는 국내 교육기관이다.

세계순위에선 미국의 하버드대가 올해도 1위를 지켰다. 이어 스탠퍼드대 MIT 중국과기대 옥스퍼드대 베이징대 도쿄대 칭화대 난징대 케임브리지대 순으로 톱10을 형성했다. 상위 3개기관은 모두 미국대학이지만, 중국대학들의 상승세가 주목된다. 중국과기대 베이징대 칭화대 난징대 모두 톱10에서 전년보다 연구경쟁력이 오른 것으로 평가됐다.

국가 순위를 살펴보면 한국은 9위로 톱10내 자리했다. 미국이 가장 높았고, 이어 중국 독일 영국 일본 순으로 상위권을 형성했다.

네이처 인덱스는 과학 저널 ‘네이처’가 발표하는 대학/연구기관의 연구경쟁력 지표다. 국제 유력 학술지 82개에 논문을 발표한 연구자의 소속기관, 공동 저자의 기여도, 학문분야별 가중치 등을 분석해 연구성과를 객관적 수치로 제시한다. 기관별 수치를 토대로 순위도 매겨 공개하고 있다. 기초과학 분야에서 권위 있는 지표로 평가되는 만큼 대학별 경쟁력을 파악하는 데 충분히 활용 가능하다.

<‘국내기관 연구경쟁력’ 서울대 1위.. KAIST 연대 성대 UNIST 순>
국내 교육기관/대학 가운데선 서울대가 연구경쟁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68.09점으로 세계58위였다. 연구경쟁력이 2% 하락한 것으로 평가됐지만, 지난해에 이어 국내1위 자리를 지켰다. 전년 대비 변화는 국제적 동향을 고려한 조정을 통해 산출한 수치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0네이처인덱스 #서울대 #KAIST #연세대 #성균관대 #UNIST #2020NatureIndexAcademic #연구경쟁력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대학방문상담 위축’.. ‘모의논술 일정 공지’ 성대 한대 인하대 건대


[베리타스알파=손수람 기자] 코로나19의 여파로 올해 대학들의 입시정보 제공 방식이 변화하고 있다. 특히 수험생들은 상위대학들이 동영상을 활용한 온라인 설명회 적극 활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놓치지 말아야 한다.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우려로 기존의 방식대로 설명회를 진행할 수 없게 됐기 때문이다. 연세대가 지난달 17일 전형안내 동영상을 입학처 유튜브를 통해 공개한 이후, 고려대 성균관대가 온라인 설명회를 진행했다. 특히 연대와 성대는 설명회 영상을 통해 지난해 입결을 투명하게 밝혔다. 수험생들 입장에서 인터넷을 통해 제약 없이 반복 시청이 가능한 만큼 입결을 활용한 지원전략 수립이 한층 수월해질 전망이다.   

반면 대학방문 형식의 대면상담과 교사간담회 일정은 크게 위축된 상태다. 상위대학 가운데선 시립대가 학생과 학부모들이 신청 가능한 1대1 대학방문 상담을 진행한다. 신청 시 대학방문 대신 전화상담으로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고교방문설명회의 경우 수도권 소재 이화여대 가톨릭대 광운대 동국대 숭실대 서울여대의 6개대학이 5월초부터 8월중순까지 진행한다. 추후 상황 변화에 따라 이들 대학의 설명회 일정은 유동적이다. 향후 코로나19 확산이 누그러질 경우 다른 대학들도 설명회나 대학방문상담 등을 실시할 것으로 보인다.

이공계특성화대학과 사관학교들은 지역별 순회 설명회 일정도 서서히 윤곽이 드러나고 있다.  KAIST 지스트대학 DGIST UNIST의 4대 과기원 공동설명회는 6월13일 부산을 시작으로 대구 대전 광주 서울 순으로 열린다. 과기원 공동설명회에 참여하지 않는 포스텍은 별도의 지역별 순회 설명회를 9회 실시한다. 사관학교 가운데선 공군사관학교(공사)와 국군사관학교(국간사)가 지역별 설명회 일정을 공지하며 입시정보 안내에 나선다.

2021학년 모의논술 일정도 구체화되고 있다. 현재 성균관대 한양대 인하대 건국대의 4개교가 올해 모의논술 일정을 공지했다. 성대의 경우 고교배포형 모의논술을 실시한다. 각 고교별로 자료를 수령하는 대로 논술고사를 개별 시행할 수 있다. 한대는 6월13일, 인하대는 6월20일 각각 모의논술을 진행할 예정이다. 건국대의 경우 6월 중으로 온라인 모의논술을 실시할 계획이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코로나19 #대입온라인설명회 #2021대입 #2021수시 #성균관대 #한양대 #인하대 #건국대 #연세대 #고려대 #이화여대 #가톨릭대 #광운대 #동국대 #중앙대 #숭실대 #서울시립대 #서울여대 #공군사관학교 #포스텍 #KAIST #DGIST #UNIST #국군간호사관학교 #지스트대학(GIST)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서울 7월23일 수시박람회 공동설명회..부산6월13일 대구6월20일 대전6월27일 광주7월4일


[베리타스알파=손수람 기자] KAIST GIST대학 DGIST UNIST의 4대과기원 공동 2021입학설명회 일정이 공개됐다. 과기원 공동설명회는 4대 과기원의 실질적인 입학정보를 한 자리에서 접할 수 있는 자리다. 다만 이공계특성화대학 일반대로 분류되는 가운데 포스텍은 참여하지 않는다.

설명회는 내달 30일 광주를 필두로 5개 대도시에서 열린다. 지역별 일정은 ▲부산 6월13일 부산교육연구정보원 ▲대구 6월20일 DGIST ▲대전 6월27일 KAIST ▲광주 7월4일 지스트대학순이다. 4개 광역시에 이어 서울은 대교협 수시박람회기간(7월23~26일)동안 코엑스에서 공동설명회를 실시한다. 모든 설명회는 오후2시부터 6시까지 네 시간동안 진행된다. 설명회와 함께 상담부스도 운영한다. 

DGIST의 경우 지역별 대학박람회 등의 참석일정도 23일 함께 공개하며 수험생과 학부모들에게 대입정보를 적극 안내하는 모습이다. 일정별로 ▲2021대학진학박람회(포항) 6월6일 포항만인당 오전10시~오후1시 ▲2021대입정보박람회(전남) 6월12일 순천고 오전11시~오후5시 ▲수시대비대학입학박람회(인천) 7월18일 인하대 오전10시~오후4시 ▲2020대입상담캠프(부산) 7월31일~8월1일 BEXCO 오전10시~오후5시 ▲아이좋아대학진학박람회(경남) 8월8일 경상대 오전9시~오후5시 ▲진학진로박람회(대구) 8월21일 EXCO 오전10시~오후5시 순이다. DGIST 입학팀 관계자는 “일정은 변경 될 수 있기 때문에 참선 적 시간, 장소 등을 재확인 하기 바란다”고 전했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1대입 #2021과학기술원 #KAIST #지스트대학 #DGIST #UNIST #이공계특성화대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AI융합대학원 인하대 한양대ERICA 부산대 충남대 4개교 선정


[베리타스알파=강태연 기자] AI분야 석박사 인재를 양성하는 ‘AI대학원’에 연세대 한양대 UNIST가 올해 추가 선정됐다. 기존 고려대 성균관대 KAIST 포스텍 지스트대학 5개교에 3개를 더해 8개교체제로 확대되면서 수요자들의 선택지가 넓어졌다. 올해부터 AI대학원 프로그램 내 새로운 트랙으로 신설된 ‘AI융합대학원’에서는 인하대 한양대ERICA 부산대 충남대등 4개 교가 선정됐다. AI대학원으로 선정된 각 대학에는 5년간 90억원을 지급하며, 단계평가를 거쳐 최대 5년을 추가해 10년간 190억원까지 추가로 지원 받는다. AI융합대학원은 대학별 여건과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운영이 가능해, 학과개설이 필수요건인 기존의 AI대학원 보다 선정기준이 완화된 게 특징이다. 기준이 완화된 만큼 지원기간과 규모가 최대 3년간 41억원으로 AI대학원보다는 적은 편이지만, 학과신설 시 전임교원 이동 등의 문제로 AI대학원을 신청하지 못한 대학들이 지원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이와 같은 내용을 담은 ’AI대학원 프로그램 확대 개편방안‘을 12일 공개했다.

AI대학원에는 KAIST 포스텍 지스트대학 고려대 성균관대 5개대학이 지난해 처음으로 선정됐다. 지난해 3월 고려대 성균관대 KAIST 3개대학이 먼저 선정됐고, 9월 2차 모집에는 포스텍 지스트대학 2개교가 추가 선정됐다. 과기정통부는 “AI 대학원 프로그램 뿐 아니라 AI 관련학과 신/증설, 교원의 겸직허용 등 제도적 정비를 비롯해 미래를 대비한 전국민 SW/AI 교육 확대 등 다각적인 AI 인재확충의 정책적인 노력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인공지능 #AI대학원 #연세대 #한양대 #UNIST #고려대 #성균관대 #KAIST #포스텍 #지스트대학 #인공지능전문인력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일반10.37대1 특기자9.55대1 지역인재5.76대1


[베리타스알파=손수람 기자] 9일 오후6시 2020수시모집을 마감한 UNIST는 경쟁률 10.01대1(정원내 모집360명/지원3602명)을 기록했다. 지난해 최종경쟁률 10대1(360명/3600명)과 비슷한 수준이다. 전형별로 일반 10.37대1, 특기자 9.55대1, 지역인재 5.76대1이다.

UNIST는 이공계특성화대 5곳 중 유일하게 경영계열 선발을 실시하는 과기원이다. 이공계열과 경영계열 2개 계열 선발체제를 운영 중이다. 국립대 법인 시절부터 선발해온 경영계열을 유지, 과기원 체제 이후에도 인문계의 지원을 허용하고 있다. 다만 이공계열 정원이 압도적으로, 이공계열 320명, 경영계열 40명으로 모집한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0대입 #2020수시경쟁률 #UNIST #울산과학기술원 #2020유니스트수시경쟁률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68566&utm_source=TISTORY&utm_medium=social



세종대 GIST 상승'눈길'..상위10%인용논문 비율 기준

 

[베리타스알파=권수진 기자] 논문의 질을 기반으로 세계대학순위를 매기는 라이덴랭킹에서 UNIST가 세계 179위로 국내1위였다. 지난해 157위에 비해서는 22계단 하락한 수치다. 올해 세계순위 평가 대상 대학은 963개교로 지난해 938개교에서 25개교 확대됐다. UNIST에 이어 포스텍(477위) KAIST(516위) 순으로 톱3였다. 포스텍은 지난해보다 36계단, KAIST는 39계단 하락했다.

톱3에 이어 세종대(580위) 울산대(628위) GIST(653위) 서울대(674위) 성균관대(714위) 고려대(735위) 연세대(740위) 순으로 톱10이었다. 세종대와 GIST를 제외하면 전반적으로 전년보다 순위가 하락한 특징이다. 올해 라이덴랭킹에 이름을 올린 국내대학은 모두 35개교로 지난해와 동일하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54259&utm_source=TISTORY&utm_medium=social

 

[2019라이덴랭킹] UNIST 포스텍 KAIST 톱3.. 전반적 순위하락 - 베리타스알파

[베리타스알파=권수진 기자] 논문의 질을 기반으로 세계대학순위를 매기는 라이덴랭킹에서 UNIST가 세계 179위로 국내1위였다. 지난해 157위...

www.veritas-a.com

4/27 부산, 6/1 대구, 6/15 광주, 6/22 대전


[베리타스알파=유수지 기자] KAIST GIST대학 DGIST UNIST 등 4대 과기원이 공동 2020입학설명회를 연다고 7일 밝혔다. 내달27일 부산을 필두로 6월1일 대구, 6월15일 광주, 6월22일 대전의 일정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확정된 시간과 장소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KAIST 관계자는 "구체적인 정보는 권역별 설명회 일시 이전 계속해서 업데이트 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4대 과기원의 실질적인 입학정보를 한 자리에서 접할 수 있는 만큼, 과기원 진학을 준비하고 있는 수험생/학부모들에게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번 설명회는 과기원 공동설명회이기 때문에 같은 이공계대학인 포스텍은 참여하지 않는다. 일반대학으로 분류되는 포스텍도 '2020 찾아가는 이공계 진로진학 설명회'와 '고교방문 설명회' 일정을 입학팀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있으므로 별도의 참석을 진행할 수 있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베리타스 알파 기사 전문보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46245&utm_source=TISTORY&utm_medium=social


UNIST 순위권 첫 진입.. 아시아/국내 대학 1위


[베리타스알파=유수지 기자] UNIST가 2018 THE 세계소규모대학 순위에서 6위에 오르며 아시아대학 1위, 국내대학 1위의 성적을 기록했다. 세계 유수의 대학인 미국 칼텍과 프랑스 에콜 폴리테크니크, 이탈리아 성안나 고등과학원, 룩셈부르크대, 에콜 노르말 쉬페리외르 리옹(리옹 고등사범학교)의 뒤를 이어 6위에 자리한 모습이다.  

세계 소규모 대학순위는 영국의 타임즈고등교육(Times Higher Education, THE)이 매해 발표하는 세계대학순위(World University Rankings)에서 5000명 미만의 대학/대학원생 규모를 지닌 ‘작은 대학’ 상위 20개교를 추려낸 순위다. 대규모 대학에 비해 양적인 측면에서 성과가 떨어질 수밖에 없는 소규모 대학들의 특성을 반영한 평가인 셈이다. 세계대학순위와 동일한 교육환경/국제화/산학연계수익/연구/논문의 5개 영역을 바탕으로 논문수 영향력 명성 교직원-학생비율 연구수익 교육평판 등 세부지표 13개를 기반으로 순위를 정한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베리타스 알파 기사 전문보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39249&utm_source=TISTORY&utm_medium=social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