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공립, 서울대 서울과기대 부산대 순
[베리타스알파=강태연 기자] 2020학년 자연과학 신입생 등록금이 가장 높았던 곳은 어디일까. 입학금과 등록금 1학기분을 합산한 ‘입학등록금’을 기준으로, 이화여대가 509만9394원으로 가장 높았다. 상위15개대(건국대 고려대 동국대 서강대 서울대 서울시립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연세대 이화여대 인하대 중앙대 한국외대 한양대) 중에서는 이대와 연대 2개교가 500만원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계열별 평균 입학등록금을 살펴보면 자연과학(367만8475원) 입학등록금은 의대(495만6000원) 공학(공대)(392만1541원) 예체능(390만1097원)계열 다음으로 높았다.
국공립대학의 경우 입학등록금을 살펴보면 KAIST(686만6000원) UNIST(628만8000원) 서울대(611만767원) 순으로 톱3를 형성했다. 그렇지만 KAIST UNIST 등과 같은 이공계특성화대학 특성상 책정된 금액은 명목상 책정된 금액이라는 점을 알아야 한다. 이공계특성화대학은 이공계 인재양성을 위해 특성화한 대학으로 국가예산 지원이 풍부해 장학금 등으로 면제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실제로 1,2위를 기록한 KAIST와 UNIST 모두 1학년에게는 등록금을 전액 면제한다. KAIST의 경우 2학년 이상의 경우 성적이 4.3점 만점에 2.7점이상이면 등록금이 전액 면제되는 구조다. UNIST의 경우 신입학 면제 이후 재학중 직전학기 12학점이상 취득, 평점 3.1점이상 등의 조건을 만족하면 등록금 전액을 지원하고. 평점 2.7이상의 경우 반액지원 혜택이 있다. 비교적 입학등록금 자체가 낮게 책정된 지스트대학과 DGIST도 사실상 무상교육이 제공된다. 지스트대학의 경우 1년수업료가 206만원으로 명시됐지만 국비장학생의 경우 학기초 약70%가 자동적으로 감면되며, 총장항학생으로 선발된 경우 직전 이수학기 4.5점 만점에 3.5점 유지 시 매학별로 200만원의 장학금이 지급된다. 교내장학금의 경우 성적우수자(직전학기 평균평점 3.85점 이상)는 실 납무액의 70%가 장학금으로 지급된다. DGIST의 경우 전교생이 국비장학생으로 전학년 등록금이 면제된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입학등록금은 없다고 볼 수 있다. 결국 정보공시를 통해 공개된 내용은 명목상 금액일 뿐, 일정 조건을 만족하면 등록금이 면제된다는 점에서 국공립대 공대 입학등록금은 서울대 서울과기대 부산대 순으로 볼 수 있다.
등록금 현황은 4년제대학 중 각종학교, 기술대학, 사이버대학, 산업대학을 제외하고 캠퍼스를 분리공시한 경우를 포함해 공학계열 등록금을 공시한 161개캠퍼스를 대상으로 산출했다. 사립대 국립대 국립대법인(서울대 인천대) 공립대(서울시립대) 특별법국립(한국전통문화대) 특별법인(KAIST 지스트대학 DGIST UNIST) 등이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0자연과학계열입학등록금 #자연과학계열대학등록금 #2020등록금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대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 QS 개교 50년미만 대학순위 KAIST 국내1위, 포스텍 지스트대학 아주대 한림대 톱5 (0) | 2020.06.25 |
---|---|
고려대 2021 비대면 면접 실시안내..업로드 현장녹화 화상면접 3개 방식 (0) | 2020.06.24 |
6월모평 이후 대입전략 어떻게 세울까.. ‘쉬운 수능 예단 금물’ (0) | 2020.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