톱500까지 국내 11개교..톱1000위까지 32개교


[베리타스알파=강태연 기자] 2020 ARWU순위에서 국내1위는 올해도 서울대가 기록했다. 중국 상하이자오퉁대가 15일 발표한 ‘2020 세계대학학술순위’에서 서울대는 세계101-150위권을 기록하며, 처음 ARWU순위가 발표된 2003년부터 18년 연속 국내1위 자리를 지켰다. 국내대학 가운데 101-150위권에 위치한 대학은 서울대가 유일했다. 이어 한양대 KAIST 고려대 성균관대 연세대(영문 알파벳순)가 함께 201-300위권을 기록했다. 지난해 151-200위권으로 국내2위를 기록한 성균관대가 하락하고, 한양대가 301-400위권에서 한 단계 상승한 결과다. 공동순위는 ARWU가 공개한 알파벳 순서에 따랐다.

ARWU(Academic Ranking of World Universities) 순위는 매년 상하이자오퉁대가 발표하는 세계대학 학술순위다. 서울대는 첫 해인 2003년 152-200위권으로 이름을 올린 후, 2005년 101-152위권으로 반등했다가 2006년부터 2009년까지는 151-202위권, 152-200위권 등으로 잠시 내려앉았다. 2010년 이후부터는 101-150위권으로 올라선 후 올해까지 11년 연속 같은 순위를 유지하고 있다. 

앞서 공개된 ARWU 분야별 순위의 경우 별도의 평가기준을 적용해 자연과학 공학 생명과학 의료과학 사회과학 5개과학분야에서 세부항목 54개과목의 순위를 보여준다. 자연과학8개 공학22개 생명과학4개 의학6개 사회과학14개다. 과목별 순위에서도 서울대가 국내대학 중 자연과학 공학 생명과학 의학 분야에서 과목별 1위를 가장 많이 기록했다. 자연과학의 경우 8개과목 중 5개과목, 공학은 22개과목 중 8개과목, 생명과학 4개과목 중 3개과목, 의학의 경우 6개과목 가운데 5개과목에서 국내1위를 기록했다. 사회과학 분야만 유일하게 고려대가 14개과목 중 7개과목에서 국내1위를 기록해 최다 과목 1위에 이름을 올렸다.

ARWU는 세부순위를 100위까지만 공개한다. 101위 이후로는 일정구간을 묶어 발표한다. 이전까지는 800개대학의 명단을 공개했지만 지난해부터 1000개대학까지 범위를 넓혔다. 101위-150위, 151-200위로 200위까지는 50개단위로 묶었고, 201위부터 1000위까지는 100개단위로 묶어 발표한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RWU순위 #2020세계대학학술순위 #서울대학교 #한양대학교 #KAIST #고려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연세대학교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전년 국내 톱10 동일.. '9년연속' 세계1위 하버드대, MIT 스탠퍼드대 톱3


[베리타스알파=강태연 기자] 비영리 교육단체 CWUR(세계대학랭킹센터)이 선정하는 ‘2020 CWUR 세계대학순위’에서 서울대가 국내대학 정상을 지켰다. 세계순위는 31위로 지난해 33위에서 2계단 올라갔다. 국내 톱5는 지난해와 동일했다.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성균관대 KAIST 순이다. 2018랭킹에서 서울대 UST 성대 연대 고대 순에서 지난해부터 톱5 구성이 변경됐다. 특히 UST의 순위가 2018랭킹 2위에서, 2019랭킹에서는 평가지표 비중 등이 바뀌면서 26위로 떨어졌었고, 올해 27위로 더 하락한 모습이다.

올해 국내 대학 랭킹은 지난해 변화된 평가지표 비중이 유지되면서 비슷한 모습을 보였다. CWUR은 교육수준(Quality of Education) 동문취업(Alumni Employment) 교수수준(Quality of Faculty) 논문실적(Research Output) 우수논문(High-Quality Publications) 논문영향력(Influence) 논문인용도(Citations)의 7개지표를 통해 순위를 선정한다. 2018랭킹까지 논문인용도(10%)를 제외한 나머지 지표의 비중이 모두 15%로 동일했지만, 지난해부터 교육수준과 동문취업의 비중이 각 25%로 상향돼 나머지 5개지표 비중은 10%로 통일됐다. 교수/동문들의 명성에 따라 순위가 좌우되는 ‘명성평가’의 특징이 강화된 모습이다.

순위와 함께 공개하는 지표항목에서의 변화도 유지됐다. 2018랭킹까지는 haems 평가지표의 개별순위가 전부 따로 공개됐지만, 지난해부터 교육수준(Quality of Education) 동문취업(Alumni Employment) 교수수준(Qualitiy of Faculty) 논문성과의 4가지 평가지표(논문실적/우수논문/논문영향력/논문인용도)를 한 번에 합산해 공개지표를 새롭게 만들었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WUR순위 #세계대학랭킹센터 #2020CWUR세계대학순위 #서울대학교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서울대 한대 고대 성대 지스트대학 톱10..록펠러대 세계 1위, MIT 스탠포드 톱3


[베리타스알파=강태연 기자] 논문의 질을 기반으로 세계대학순위를 매기는 라이덴랭킹에서 UNIST가 세계 224위로 국내1위였다. 지난해 179위에 비해서는 45계단 하락한 수치다. 올해 세계순위 평가 대상 대학은 1176개교로 지난해 963개교에서 213개교 확대됐다. UNIST에 이어 포스텍(578위) 세종대(592위) 순으로 톱3였다. 포스텍은 지난해보다 101계단, 세종대는 12계단 하락했다. 지난해 톱3에 위치했던 KAIST가 전년 대비 127계단 하락해 4위로 내려가고, 비교적 하락폭이 적은 세종대가 3위로 올라선 모습이다.

톱3에 이어 KAIST(643위) 울산대(777위) 서울대(818위) 한양대(850위) 고려대(853위) 성균관대(860위) 지스트대학(867위) 순으로 톱10이었다. 올해 새롭게 라이덴랭킹에 이름을 올린 국내대학을 제외하면 모든 대학의 순위가 하락했다. 올해 라이덴랭킹에 이름을 올린 국내대학은 총44개교로, 전년 대비 9개교 확대됐다.

세계 상위대학으로 살펴보면 올해 1위는 록펠러대다. 상위10%논문 비율은 30.4%로 전체 대학 가운데 유일하게 30%대를 기록했다. 이어 MIT(25.7%) 스탠퍼드대(23.8%) 프린스턴대(23.3%) 하버드대(22.6%) 순의 톱5다. 올해의 경우 톱11까지 모두 미국 대학이 차지한 특징이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0라이덴랭킹 #세계대학평가 #록펠러 #MIT #스탠퍼드 #프린스턴 #UNIST #포스텍 #세종대 #KAIST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KAIST 수입료 102억


[베리타스알파=권수진 기자] 지난해 대학이 가진 창의적 자산을 산업계에 이전해 달성한 수입료가 가장 많았던 대학은 KAIST였다. 대학알리미가 6월 공시한 ‘기술이전 수입료 및 계약 실적’ 현황에 따르면 KAIST는 지난 한 해 56건의 기술이전으로 약 102억원의 수입료를 올렸다. 서울대 고려대 성균관대 경희대 순으로 톱5였다.

기술이전 수입료는, 기술료, 연구개별성과를 실시하는 권리를 획득한 대가로 실시권자(기업)가 연구개발성과를 소유한 기관(대학)에 지급하는 금액을 의미한다. 총장 또는 산합협력단장 명의로 체결한 기술이전 계약에 한한다. 기술이전 실적은 계약서 체결 여부를 기준으로 한다. 개발이 완료된 기술을 매매하거나 실시권을 허락한 경우에 한한다. 기술자문(컨설팅, 기술지도 포함), 산업체 공동연구, 인력교류 등 개발이 완료되지 않은 기술의 이전은 제외한다.

올해 공시는 2019년 1월1일부터 12월31일까지 체결된 기술이전 계약서를 근거로 한 기술 이전 건수를 공시했다. 1개 계약서 내에 다수 기술이 포함된 경우에도 1건으로 본다. 수입료는 기술이전 계약 체결을 근거로 조사연도에 수취한 실수입료를 말한다. 계약을 체결한 연도와는 상관없이 조사연도에 실제적으로 입금된 금액에 한한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술이전 #산학협력 #KAIST #서울대 #고려대 #성균관대 #경희대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200건 이상 등록대학 18개교

[베리타스알파=권수진 기자] 지난해 특허 등록 건수가 가장 많았던 대학은 전년에 이어 KAIST였다. 대학알리미가 6월 공시한 ‘특허출원 및 등록 실적’에 의하면 KAIST가 884건으로 등록 건수가 가장 많았다. 방송통신대 산업대 등을 제외한 전국 149개대 통틀어 가장 높은 기록이다. 서울대가 780건, 연세대가 713건, 고려대가 596건, 한양대가 528건으로 뒤를 이었다.

특허 실적은 기술이전수입료와 더불어 대학의 연구역량을 가늠할 수 있는 잣대 중 하나다. 주로 이공계가 강한 대학의 실적이 높을 수밖에 없다. 인문사회계열 학문 특성상 실용화가 가능한 특허 등록이나 원천기술보유를 할 수 있는 결과물을 내기 어렵기 때문이다. 

대학알리미에 공시된 특허 출원 등록 실적은 2019년 한 해 동안 출원되거나 등록된 특허가 기준이다. ‘출원’이란 특허가 출원된 이후 거절됐거나 취하, 공개된 건이라도 일단 출원이 됐다면 모두 포함한다. 반면 ‘등록’은 특허가 출원된 이후 실제 등록된 것만 해당한다. 학교법인이나 산학협력단 명의로 출원/등록된 건에 한하며, 개인 명의는 제외한다. 출원/등록된 이후 거절 양도 이전(매매) 포기 등의 경우에도 일단 대학명의 특허가 출원되거나 등록이 된 경우 모두 포함한다. 

국내특허는 특허청이 제공한 정보 출원일/등록일을 기준으로 산출한다. 발명특허가 아닌 실용신안, 디자인, 상표 등은 대상에서 제외한다. 해외특허는 개별 국가건수를 기준으로 산출한다. 동일 기술이 다수 국가로 출원/등록된 경우 출원/등록된 번호를 기준으로 번호 1개당 특허 1건으로 산출한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특허출원실적 #특허등록실적 #KAIST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한양대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홍콩과기대 난양공대 PSL ‘세계 톱3’


[베리타스알파=강태연 기자] 25일 영국의 타임즈고등교육이 발표한 ‘2020 세계신흥대학순위(THE Young University Rankings 2020)'에서 KAIST가 세계5위로 3년 연속 국내대학 정상에 올랐다. 세계순위에서는 한 계단 상승했다. 이어 3년연속 세계8위를 기록한 포스텍, 세계17위 UNIST까지 국내대학 톱3이자 세계톱20 내에 자리한 대학이다. 세계톱20에는 들지 못했지만 순위권 내에 이름을 올린 국내대학은 지스트대학(68위) 울산대(101-150위) 아주대(201-250위) 한림대(301-350위) 인천대(301-350위)다.

세계순위에서는 홍콩과기대가 3년연속으로 세계1위 자리를 지켰다. 지난해 2위를 기록한 로잔공대는 올해 개교 50년이 넘어가면서 평가대상에서 제외됐다. 로잔공대가 빠지면서 지난해 3,4위에 위치했던 난양공대(싱가포르)와 PSL(프랑스)가 그대로 2,3위로 올라서면서 새로운 톱3를 형성했다. 세계4위에는 지난해 7위를 기록한 성안나고등과학원(이탈리아)이 이름을 올렸다. 이어 전년 보다 한 계단 올라온 KAIST까지가 톱5다. 올해 세계톱20 내에는 지난해 톱20에 들지 못했던 파리대(프랑스) 앤트워프대(벨기에), 퀸즐랜드공대(호주), 캔버라대(호주) 4개교가 새롭게 진입했다. 특히 파리대의 경우 지난해 세계신흥대학순위권 밖이었다. 캔버라대의 경우 지난해 34위에서 올해 18위로 16계단 상승한 모습이다.

개교 50년을 넘기지 않은 신흥대학을 대상으로 하는 ‘신흥대학 순위’는 2020년 순위산정 대학범위를 또 한 번 확대했다. 2012년부터 2015년까지는 100개교, 2016년 150개교, 2017년 200개교, 2018년 250개교, 2019년 351개교, 2020년 414개교 순으로 꾸준히 순위공개 대학을 늘리고 있다. 올해 범위가 확대되긴 했지만 순위에 진입한 신규 국내대학은 없었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0THE세계신흥대학순위 #국내대학순위 #KAIST #포스텍 #UNIST #지스트대학 #울산대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난양공대 홍콩과기대 KAIST '세계 톱3'.. 2015년부터 톱3 체제 구축


[베리타스알파=강태연 기자] QS가 24일 발표한 ‘2021 개교 50년 미만 대학 순위’에서 KAIST가 세계3위로 국내대학 1위에 이름을 올렸다. 2013년부터 매년 세계3위, 국내1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앞서 공개한 QS세계대학순위에서는 세계39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KAIST에 이어 포스텍 7위, 지스트대학 30위 순으로 지난해와 동일하게 국내 톱3를 형성한 모습이다. 포스텍은 지난해와 동일한 순위를 기록한 반면, 지스트대학의 경우 지난해 38위에서 8계단 상승했다.

톱3 대학을 포함해 국내대학은 총5개대학이 순위에 이름을 올렸다. 아주대와 한림대가 각 91-100위권에 자리했다. 한림대는 지난해와 동일한 순위를 기록했고, 아주대의 경우 전년 101-150위권에서 상승한 모습이다. 지난해 순위에 있었던 울산대는 올해 명단에 없었다.

세계1위는 올해도 싱가포르의 난양공대가 차지했다. 이어 홍콩과기대(홍콩) KAIST(한국) 순으로 톱3도 지난해와 동일한 모습이다. 톱5까지 보더라도 4위 홍콩시립대(홍콩)와 5위 파리과학인문학대학교(PSL)(프랑스)도 지난해와 동일하게 유지됐다.

2012년부터 발표하기 시작한 ‘QS 개교 50년 미만 대학 순위’는 'QS 세계대학순위'를 기반으로 매겨지는 순위로, 개교한지 50년을 넘지 않은 대학만을 대상으로 한다. 순위의 기반이 되는 QS 세계대학순위는 학계평판도(40%) 졸업생평판도(10%) 논문 피인용(20%) 교수1인당 학생수 비율(20%) 외국인교수 비율(5%) 외국인학생 비율(5%) 등 총 6개의 지표를 토대로 한다.

2017순위까지는 100개 대학의 순위가 공개됐으나, 2018순위부터는 150개 대학까지 순위공개가 이뤄지고 있다. 50위까지는 개별순위를 공개하지만 51위부터 100위까지는 10개 대학으로 묶어 순위를 공개한다. 101위 이하부터는 101-150위권으로 50개 대학을 묶었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QS대학순위 #2021개교50년미만대학순위 #국내대학순위 #KAIST #포스텍 #지스트대학 #아주대 #한림대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성대 한대 경희대 지스트대학 이대 순.. '한국대학 졸업생평판 높아'


[베리타스알파=강태연 기자] 올해 QS세계대학 순위에서 서울대가 지난해와 동일하게 세계37위를 기록하면서 국내대학 1위 자리를 지켰다. 국내2위인 KAIST는 지난해보다 2계단 올라온 세계39위를 기록했다. 이어 14위나 상승해 세계69위를 기록한 고려대까지 톱3를 형성했다. QS가 독자적으로 세계대학순위를 발표하기 시작한 2009년 이후, 지난해부터 설-카-포로 유지되던 국내톱3 체제가 깨지고 새로운 체제가 자리잡고 있는 모습이다. 지난해 4위로 하락했던 포스텍은 올해 전년 대비 세계랭킹이 10계단 상승했지만, 77위로 올해도 국내4위를 기록했다. 국내순위 1위부터 4위는 지난해와 동일했지만 5위에서는 변화가 있었다. 지난해에는 성균관대가 세계95위로 톱100 내에 들면서 톱5에 안착했지만, 올해 연세대 순위가 19계단 상승하면서 85위로 톱5에 이름을 올렸다. 성대도 전년 대비 7계단 상승했지만 연대에 밀려 국내6위를 기록했다.

순위가 표기되는 500위 내의 한국대학들은 대부분 순위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순위가 표기된 곳 15개교 가운데 13개교의 순위가 전년 대비 상승했다. 서울대(37위) KAIST(39위) 고려대(69위) 포스텍(77위) 연세대(85위) 성균관대(88위) 한양대(146위) 경희대(236위) 지스트대학(295위) 이화여대(333위) 한국외대(392위) 중앙대(403위) 동국대(456위) 가톨릭대(456위) 서강대(490위) 가운데 이대와 서강대를 제외한 모든 대학의 순위가 올랐다. 벤 쇼터 QS리서치 연구소장은 한국의 대학 순위가 상승된 주된 이유로는 고용주들이 졸업생을 평가하는 항목을 꼽았다. 벤 쇼터 소장은 “고용주들이 국내 출실 대학졸업생을 선호하고, 79%의 국내대학이 ‘고용주 평가’(졸업생평판도) 항목에서 전년 대비 높은 평점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영국의 QS(Quacquarelli symonds)가 10일 공개한 2020 QS 세계대학순위(QS World universities rankings 2021/QS 발표기준 2021년)에 따르면 세계 최고의 대학은 올해 역시 미국의 MIT였다. 9년 연속 1위의 성과다. 2위 스탠퍼드대, 3위 하버드대 순으로 올해도 전년과 동일한 톱3를 유지했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0QS세계대학순위 #서울대 #KAIST #고려대 #포스텍 #연세대 #QS대학순위 #QS대학평가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아시아 1,2위 칭화대 베이징대


[베리타스알파=강태연 기자] 세계대학평가기관 THE가 발표한 2020 아시아대학순위에서 서울대가 아시아9위로 3년 연속 국내대학 1위 자리를 지켰다. 서울대에 다음으로는 성균관대가 지난해에 이어 2년연속 아시아10위를 기록하면서 국내대학 2위에 이름을 올렸다. KAIST도 2년연속 아시아13위를 기록하면서 톱3를 형성했다. 톱3에 이어 아시아톱20에 이름을 올린 곳은 포스텍(15위)과 고려대(20위)로 총5개교다.

아시아대학 중 전체 1위를 차지한 곳은 중국의 칭화대다. 2017년 3위, 2018년 2위, 2019년 1위로 매년 한 계단씩 올라가더니 2년연속 아시아정상을 차지한 모습이다. 반면 2017,2018년 1위를 기록하고 2019년 2위로 순위가 내려갔던 싱가포르국립대는 올해 3위로 한 계단 더 내려갔다. 2위에는 지난해 5위를 기록한 베이징대가 이름을 올렸다. 아시아1,2위 모두 중국대학인 특징이다. 톱20내에는 중국 7개교, 한국 5개교, 홍콩4개교, 싱가포르/일본 각 2개교 순으로 자리했다.

<2020 THE 아시아대학순위>
영국의 대학평가기관인 타임즈고등교육(THE, Times Higher Education)은 ‘2020 아시아 대학순위(Asia University Rankings 2020)’를 3일 공개했다. THE 아시아 대학순위는 아시아지역에서는 가장 공신력 있는 대학 순위로 평가받는다.

올해 평가지표는 지난해와 동일하다. ▲교육여건(Teaching : the learning environment) 25% ▲연구(Research : volume, income and reputation) 30% ▲논문피인용도(Citation : research influence) 30%  ▲국제평판(International outlook : staff, students and research) 7.5% ▲산학협력수입(Industry income : Knowledge transfer) 7.5% 등 5개 지표로 평가됐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0THE아시아대학순위 #서울대 #성균관대 #KAIST #포스텍 #고려대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326466&utm_source=TISTORY&utm_medium=social



‘500위 이내’ 13개대학.. ‘국가별 순위’ 한국 세계9위


[베리타스알파=손수람 기자] 저명한 자연과학 학술지 네이처(Nature)가 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국내 교육/연구기관 가운데 서울대의 연구경쟁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됐다. 지난달 30일 네이처는 ‘2020 네이처 인덱스 교육기관 순위(2020 Nature Index-Academic)’를 공개했다. 네이처 인덱스 교육기관 순위는 기업을 제외한 교육/연구기관이 평가대상이다. 세계순위는 500위까지 제공된다. 국내 교육기관 가운데선 13개기관이 500위 안에 이름을 올렸다. 세계58위로 국내1위를 차지한 서울대에 이어 KAIST(70위) 연세대(147위) 성균관대(152위) UNIST(160위) 순으로 톱5였다.

이후 포스텍(165위) 고려대(210위) 한양대(250위) 지스트대학(390위) 이화여대(399위) 경희대(430위) 부산대(459위) 중앙대(473위)까지 세계순위를 알 수 있는 국내 교육기관이다.

세계순위에선 미국의 하버드대가 올해도 1위를 지켰다. 이어 스탠퍼드대 MIT 중국과기대 옥스퍼드대 베이징대 도쿄대 칭화대 난징대 케임브리지대 순으로 톱10을 형성했다. 상위 3개기관은 모두 미국대학이지만, 중국대학들의 상승세가 주목된다. 중국과기대 베이징대 칭화대 난징대 모두 톱10에서 전년보다 연구경쟁력이 오른 것으로 평가됐다.

국가 순위를 살펴보면 한국은 9위로 톱10내 자리했다. 미국이 가장 높았고, 이어 중국 독일 영국 일본 순으로 상위권을 형성했다.

네이처 인덱스는 과학 저널 ‘네이처’가 발표하는 대학/연구기관의 연구경쟁력 지표다. 국제 유력 학술지 82개에 논문을 발표한 연구자의 소속기관, 공동 저자의 기여도, 학문분야별 가중치 등을 분석해 연구성과를 객관적 수치로 제시한다. 기관별 수치를 토대로 순위도 매겨 공개하고 있다. 기초과학 분야에서 권위 있는 지표로 평가되는 만큼 대학별 경쟁력을 파악하는 데 충분히 활용 가능하다.

<‘국내기관 연구경쟁력’ 서울대 1위.. KAIST 연대 성대 UNIST 순>
국내 교육기관/대학 가운데선 서울대가 연구경쟁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68.09점으로 세계58위였다. 연구경쟁력이 2% 하락한 것으로 평가됐지만, 지난해에 이어 국내1위 자리를 지켰다. 전년 대비 변화는 국제적 동향을 고려한 조정을 통해 산출한 수치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0네이처인덱스 #서울대 #KAIST #연세대 #성균관대 #UNIST #2020NatureIndexAcademic #연구경쟁력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