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 41.3대1, 육사 34.2대1 ‘역대최고 경신’


[베리타스알파=윤은지 기자] 2019학년 군경 특수대학 가운데 경쟁률이 가장 높은 곳은 올해도 경찰대학이었다. 경찰대학 일반전형은 90명 모집에 5484명이 지원해 60.9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2017학년 정점을 찍었던 경쟁률이 작년에 이어 하락한 모습이다. 4개사관학교 중에선 국간사의 경쟁률이 가장 높았다. 지난달 국방부 지시로 정원이 소폭 확대된 국간사는 47.7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국간사 역시 2년연속 하락세다. 반면 공사 육사 경쟁률은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공사 경쟁률은 올해 처음으로 40대1을 넘기며 육해공 3사 경쟁률 1위자리를 되찾았다. 해사가 38.5대1, 육사가 34.2대1로 뒤를 이었다. 육사는 20명의 정원확대에도 경쟁률이 상승해 인기를 실감케 했다.

5개교 평균경쟁률은 40.6대1로 작년 41.1보다 하락했다. 육사 공사가 사상최고 경쟁률을 기록했지만 경찰대학 경쟁률이 크게 하락한 영향이다. 경쟁률 하락은 1차시험 중복일정의 영향이다. 최근 5년간 특수대학 경쟁률을 분석한 결과 1차시험일이 중복됐던 2016~2017학년 2년간은 5개교의 경쟁률이 전반적으로 상승한 반면, 일정중복으로 복수지원이 불가능했던 2015학년과 2018학년은 경쟁률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 교육 전문가는 “경찰대학과 사관학교의 시험일정이 겹치면서 경찰대학까지 상향지원하는 지원자들이 사라진 결과”라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육사 경쟁률이 34.2대1로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20명의 정원확대에도 경쟁률이 상승해 사관학교 인기를 실감케 했다. 사진은 육사생도들의 모습. /사진=육군사관학교 제공

<베리타스알파 기사 전문보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24367

올해 군/경 특수대학 가운데 경쟁률이 가장 높은 곳은 경찰대학이었습니다. 


경찰대학은 100명 모집에 6846명이 지원해 경쟁률 68.5대 1을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크게 치솟았던 경쟁률에 비해 다소 하락했으나 여전히 5개특수대학 가운데 가장 높은 경쟁률입니다. 


4개사관학교 중에선 국간사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최고경쟁률을 기록했습니다. 85명 모집에 4250명이 지원해 50대 1의 경쟁률을 보였습니다. 지난해 51.7대 1보단 소폭 하락한 모습입니다. 


이어 해사 39대 1, 공사 38.6대 1, 육사 32.8대 1 순으로 경쟁률이 형성됐습니다. 


교육계 전문가들은 특수대학의 높은 인기 배경으로 장기화된 취업난을 지목했습니다. 대학 졸업 후 군/경찰 간부로 취업이 보장된다는 점이 수험생들 사이에서 인기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학비는 물론, 품위유지비 등 생활비가 지급돼 비용 부담이 적다는 점과 특수대학으로 수시6회 제한에 해당하지 않는 점도 경쟁률 상승 원인으로 꼽았습니다. 


높아진 군의 위상도 군/경 특수대학의 경쟁률 상승요인 중 하나로 거론됩니다. 다만 극심한 취업난이 특수대학 경쟁률 상승의 주요인으로 지목된 탓에 우수인재가 군/경으로 몰리는 사실은 마냥 긍정적으로만 볼 수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  


베리타스알파 기사 바로가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9233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