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리타스알파 바로가기>
올해 서울대에 합격하고도 입학을 포기한 학생의 수가 최근 5년 중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동섭(국민의) 의원이 서울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서울대 입학포기 인원은 총 1714명.
매년 300명 이상의 입학포기 인원이 나오는 가운데 올해는 386명의 입학포기 사례가 발생했습니다.
가장 입학포기 인원이 적었던 2015학년의 317명과 비교하면 70여 명이나 많은 수치입니다.
이 같은 입학포기 인원 증가는 의대 치대 한의대를 일컫는 ‘의치한’을 향한 자연계열 수험생들의 선호도 상승으로부터 비롯됐다는 평가입니다.
실제 입학포기가 발생한 모집단위를 보면 공대(136명)를 필두로 농생대(53명) 간호대(50명) 자연과학대(42명) 등 자연계열에서 입학포기자가 월등히 많았다. 모집인원과 비교해서 보더라도 간호대(61.7%) 치의학과(32.7%) 수의대(18%) 공대(16%) 자연과학대(15.3%) 농생대(15.3%) 순으로 포기비율이 높았습니다.
반면, 경영대는 단 1명(0.7%)의 입학포기자가 발생하는 데 그쳤으며, 사회과학대 9명(4.3%), 인문대 12명(4.3%) 등 인문계열에선 입학포기 사례가 많지 않은 편이었습니다.
의치한이라는 ‘대체제’가 있는 자연계열과 달리 인문계열에선 서울대가 최고대학의 위상을 공고히 지키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국내 최고대학인 서울대에서의 입학포기 발생을 두고 일각에서는 서울대의 입학정책이 문제가 있다며 비판에 나서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교육전문가들은 이같은 비판 자체가 잘못됐다는 입장입니다. 한 교육 전문가는 “입학포기는 취업난이라는 사회문제에서 비롯된 현상입니다. 입학정책의 문제로 보는 것은 본질을 호도하는 것”이라며, “모집인원 대비 비율로 따져보면 수시보다 정시에서 포기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온다. 이같은 비판대로라면 정시를 지금보다 더욱 줄여야 한다는 것인데, 현재 서울대의 정시선발 비율이 약 20%에 불과하단 점을 고려하면 이는 바람직하지 못한 일”이라며 비판을 일축했습니다.
'대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 특수대학] '최고' 경찰대학 68.5대 1 (0) | 2017.10.11 |
---|---|
'수험생 무시’ 서울교대..정시요강 공개 한 달 넘겨 (0) | 2017.10.11 |
[2017수능분석] ‘확대’ 재수생 강세 '10점이상 높아 (0) | 2017.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