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한대 고대 성대 지스트대학 톱10..록펠러대 세계 1위, MIT 스탠포드 톱3


[베리타스알파=강태연 기자] 논문의 질을 기반으로 세계대학순위를 매기는 라이덴랭킹에서 UNIST가 세계 224위로 국내1위였다. 지난해 179위에 비해서는 45계단 하락한 수치다. 올해 세계순위 평가 대상 대학은 1176개교로 지난해 963개교에서 213개교 확대됐다. UNIST에 이어 포스텍(578위) 세종대(592위) 순으로 톱3였다. 포스텍은 지난해보다 101계단, 세종대는 12계단 하락했다. 지난해 톱3에 위치했던 KAIST가 전년 대비 127계단 하락해 4위로 내려가고, 비교적 하락폭이 적은 세종대가 3위로 올라선 모습이다.

톱3에 이어 KAIST(643위) 울산대(777위) 서울대(818위) 한양대(850위) 고려대(853위) 성균관대(860위) 지스트대학(867위) 순으로 톱10이었다. 올해 새롭게 라이덴랭킹에 이름을 올린 국내대학을 제외하면 모든 대학의 순위가 하락했다. 올해 라이덴랭킹에 이름을 올린 국내대학은 총44개교로, 전년 대비 9개교 확대됐다.

세계 상위대학으로 살펴보면 올해 1위는 록펠러대다. 상위10%논문 비율은 30.4%로 전체 대학 가운데 유일하게 30%대를 기록했다. 이어 MIT(25.7%) 스탠퍼드대(23.8%) 프린스턴대(23.3%) 하버드대(22.6%) 순의 톱5다. 올해의 경우 톱11까지 모두 미국 대학이 차지한 특징이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0라이덴랭킹 #세계대학평가 #록펠러 #MIT #스탠퍼드 #프린스턴 #UNIST #포스텍 #세종대 #KAIST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홍콩과기대 난양공대 PSL ‘세계 톱3’


[베리타스알파=강태연 기자] 25일 영국의 타임즈고등교육이 발표한 ‘2020 세계신흥대학순위(THE Young University Rankings 2020)'에서 KAIST가 세계5위로 3년 연속 국내대학 정상에 올랐다. 세계순위에서는 한 계단 상승했다. 이어 3년연속 세계8위를 기록한 포스텍, 세계17위 UNIST까지 국내대학 톱3이자 세계톱20 내에 자리한 대학이다. 세계톱20에는 들지 못했지만 순위권 내에 이름을 올린 국내대학은 지스트대학(68위) 울산대(101-150위) 아주대(201-250위) 한림대(301-350위) 인천대(301-350위)다.

세계순위에서는 홍콩과기대가 3년연속으로 세계1위 자리를 지켰다. 지난해 2위를 기록한 로잔공대는 올해 개교 50년이 넘어가면서 평가대상에서 제외됐다. 로잔공대가 빠지면서 지난해 3,4위에 위치했던 난양공대(싱가포르)와 PSL(프랑스)가 그대로 2,3위로 올라서면서 새로운 톱3를 형성했다. 세계4위에는 지난해 7위를 기록한 성안나고등과학원(이탈리아)이 이름을 올렸다. 이어 전년 보다 한 계단 올라온 KAIST까지가 톱5다. 올해 세계톱20 내에는 지난해 톱20에 들지 못했던 파리대(프랑스) 앤트워프대(벨기에), 퀸즐랜드공대(호주), 캔버라대(호주) 4개교가 새롭게 진입했다. 특히 파리대의 경우 지난해 세계신흥대학순위권 밖이었다. 캔버라대의 경우 지난해 34위에서 올해 18위로 16계단 상승한 모습이다.

개교 50년을 넘기지 않은 신흥대학을 대상으로 하는 ‘신흥대학 순위’는 2020년 순위산정 대학범위를 또 한 번 확대했다. 2012년부터 2015년까지는 100개교, 2016년 150개교, 2017년 200개교, 2018년 250개교, 2019년 351개교, 2020년 414개교 순으로 꾸준히 순위공개 대학을 늘리고 있다. 올해 범위가 확대되긴 했지만 순위에 진입한 신규 국내대학은 없었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0THE세계신흥대학순위 #국내대학순위 #KAIST #포스텍 #UNIST #지스트대학 #울산대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난양공대 홍콩과기대 KAIST '세계 톱3'.. 2015년부터 톱3 체제 구축


[베리타스알파=강태연 기자] QS가 24일 발표한 ‘2021 개교 50년 미만 대학 순위’에서 KAIST가 세계3위로 국내대학 1위에 이름을 올렸다. 2013년부터 매년 세계3위, 국내1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앞서 공개한 QS세계대학순위에서는 세계39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KAIST에 이어 포스텍 7위, 지스트대학 30위 순으로 지난해와 동일하게 국내 톱3를 형성한 모습이다. 포스텍은 지난해와 동일한 순위를 기록한 반면, 지스트대학의 경우 지난해 38위에서 8계단 상승했다.

톱3 대학을 포함해 국내대학은 총5개대학이 순위에 이름을 올렸다. 아주대와 한림대가 각 91-100위권에 자리했다. 한림대는 지난해와 동일한 순위를 기록했고, 아주대의 경우 전년 101-150위권에서 상승한 모습이다. 지난해 순위에 있었던 울산대는 올해 명단에 없었다.

세계1위는 올해도 싱가포르의 난양공대가 차지했다. 이어 홍콩과기대(홍콩) KAIST(한국) 순으로 톱3도 지난해와 동일한 모습이다. 톱5까지 보더라도 4위 홍콩시립대(홍콩)와 5위 파리과학인문학대학교(PSL)(프랑스)도 지난해와 동일하게 유지됐다.

2012년부터 발표하기 시작한 ‘QS 개교 50년 미만 대학 순위’는 'QS 세계대학순위'를 기반으로 매겨지는 순위로, 개교한지 50년을 넘지 않은 대학만을 대상으로 한다. 순위의 기반이 되는 QS 세계대학순위는 학계평판도(40%) 졸업생평판도(10%) 논문 피인용(20%) 교수1인당 학생수 비율(20%) 외국인교수 비율(5%) 외국인학생 비율(5%) 등 총 6개의 지표를 토대로 한다.

2017순위까지는 100개 대학의 순위가 공개됐으나, 2018순위부터는 150개 대학까지 순위공개가 이뤄지고 있다. 50위까지는 개별순위를 공개하지만 51위부터 100위까지는 10개 대학으로 묶어 순위를 공개한다. 101위 이하부터는 101-150위권으로 50개 대학을 묶었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QS대학순위 #2021개교50년미만대학순위 #국내대학순위 #KAIST #포스텍 #지스트대학 #아주대 #한림대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성대 한대 경희대 지스트대학 이대 순.. '한국대학 졸업생평판 높아'


[베리타스알파=강태연 기자] 올해 QS세계대학 순위에서 서울대가 지난해와 동일하게 세계37위를 기록하면서 국내대학 1위 자리를 지켰다. 국내2위인 KAIST는 지난해보다 2계단 올라온 세계39위를 기록했다. 이어 14위나 상승해 세계69위를 기록한 고려대까지 톱3를 형성했다. QS가 독자적으로 세계대학순위를 발표하기 시작한 2009년 이후, 지난해부터 설-카-포로 유지되던 국내톱3 체제가 깨지고 새로운 체제가 자리잡고 있는 모습이다. 지난해 4위로 하락했던 포스텍은 올해 전년 대비 세계랭킹이 10계단 상승했지만, 77위로 올해도 국내4위를 기록했다. 국내순위 1위부터 4위는 지난해와 동일했지만 5위에서는 변화가 있었다. 지난해에는 성균관대가 세계95위로 톱100 내에 들면서 톱5에 안착했지만, 올해 연세대 순위가 19계단 상승하면서 85위로 톱5에 이름을 올렸다. 성대도 전년 대비 7계단 상승했지만 연대에 밀려 국내6위를 기록했다.

순위가 표기되는 500위 내의 한국대학들은 대부분 순위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순위가 표기된 곳 15개교 가운데 13개교의 순위가 전년 대비 상승했다. 서울대(37위) KAIST(39위) 고려대(69위) 포스텍(77위) 연세대(85위) 성균관대(88위) 한양대(146위) 경희대(236위) 지스트대학(295위) 이화여대(333위) 한국외대(392위) 중앙대(403위) 동국대(456위) 가톨릭대(456위) 서강대(490위) 가운데 이대와 서강대를 제외한 모든 대학의 순위가 올랐다. 벤 쇼터 QS리서치 연구소장은 한국의 대학 순위가 상승된 주된 이유로는 고용주들이 졸업생을 평가하는 항목을 꼽았다. 벤 쇼터 소장은 “고용주들이 국내 출실 대학졸업생을 선호하고, 79%의 국내대학이 ‘고용주 평가’(졸업생평판도) 항목에서 전년 대비 높은 평점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영국의 QS(Quacquarelli symonds)가 10일 공개한 2020 QS 세계대학순위(QS World universities rankings 2021/QS 발표기준 2021년)에 따르면 세계 최고의 대학은 올해 역시 미국의 MIT였다. 9년 연속 1위의 성과다. 2위 스탠퍼드대, 3위 하버드대 순으로 올해도 전년과 동일한 톱3를 유지했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0QS세계대학순위 #서울대 #KAIST #고려대 #포스텍 #연세대 #QS대학순위 #QS대학평가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아시아 1,2위 칭화대 베이징대


[베리타스알파=강태연 기자] 세계대학평가기관 THE가 발표한 2020 아시아대학순위에서 서울대가 아시아9위로 3년 연속 국내대학 1위 자리를 지켰다. 서울대에 다음으로는 성균관대가 지난해에 이어 2년연속 아시아10위를 기록하면서 국내대학 2위에 이름을 올렸다. KAIST도 2년연속 아시아13위를 기록하면서 톱3를 형성했다. 톱3에 이어 아시아톱20에 이름을 올린 곳은 포스텍(15위)과 고려대(20위)로 총5개교다.

아시아대학 중 전체 1위를 차지한 곳은 중국의 칭화대다. 2017년 3위, 2018년 2위, 2019년 1위로 매년 한 계단씩 올라가더니 2년연속 아시아정상을 차지한 모습이다. 반면 2017,2018년 1위를 기록하고 2019년 2위로 순위가 내려갔던 싱가포르국립대는 올해 3위로 한 계단 더 내려갔다. 2위에는 지난해 5위를 기록한 베이징대가 이름을 올렸다. 아시아1,2위 모두 중국대학인 특징이다. 톱20내에는 중국 7개교, 한국 5개교, 홍콩4개교, 싱가포르/일본 각 2개교 순으로 자리했다.

<2020 THE 아시아대학순위>
영국의 대학평가기관인 타임즈고등교육(THE, Times Higher Education)은 ‘2020 아시아 대학순위(Asia University Rankings 2020)’를 3일 공개했다. THE 아시아 대학순위는 아시아지역에서는 가장 공신력 있는 대학 순위로 평가받는다.

올해 평가지표는 지난해와 동일하다. ▲교육여건(Teaching : the learning environment) 25% ▲연구(Research : volume, income and reputation) 30% ▲논문피인용도(Citation : research influence) 30%  ▲국제평판(International outlook : staff, students and research) 7.5% ▲산학협력수입(Industry income : Knowledge transfer) 7.5% 등 5개 지표로 평가됐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0THE아시아대학순위 #서울대 #성균관대 #KAIST #포스텍 #고려대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326466&utm_source=TISTORY&utm_medium=social



‘대학방문상담 위축’.. ‘모의논술 일정 공지’ 성대 한대 인하대 건대


[베리타스알파=손수람 기자] 코로나19의 여파로 올해 대학들의 입시정보 제공 방식이 변화하고 있다. 특히 수험생들은 상위대학들이 동영상을 활용한 온라인 설명회 적극 활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놓치지 말아야 한다.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우려로 기존의 방식대로 설명회를 진행할 수 없게 됐기 때문이다. 연세대가 지난달 17일 전형안내 동영상을 입학처 유튜브를 통해 공개한 이후, 고려대 성균관대가 온라인 설명회를 진행했다. 특히 연대와 성대는 설명회 영상을 통해 지난해 입결을 투명하게 밝혔다. 수험생들 입장에서 인터넷을 통해 제약 없이 반복 시청이 가능한 만큼 입결을 활용한 지원전략 수립이 한층 수월해질 전망이다.   

반면 대학방문 형식의 대면상담과 교사간담회 일정은 크게 위축된 상태다. 상위대학 가운데선 시립대가 학생과 학부모들이 신청 가능한 1대1 대학방문 상담을 진행한다. 신청 시 대학방문 대신 전화상담으로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고교방문설명회의 경우 수도권 소재 이화여대 가톨릭대 광운대 동국대 숭실대 서울여대의 6개대학이 5월초부터 8월중순까지 진행한다. 추후 상황 변화에 따라 이들 대학의 설명회 일정은 유동적이다. 향후 코로나19 확산이 누그러질 경우 다른 대학들도 설명회나 대학방문상담 등을 실시할 것으로 보인다.

이공계특성화대학과 사관학교들은 지역별 순회 설명회 일정도 서서히 윤곽이 드러나고 있다.  KAIST 지스트대학 DGIST UNIST의 4대 과기원 공동설명회는 6월13일 부산을 시작으로 대구 대전 광주 서울 순으로 열린다. 과기원 공동설명회에 참여하지 않는 포스텍은 별도의 지역별 순회 설명회를 9회 실시한다. 사관학교 가운데선 공군사관학교(공사)와 국군사관학교(국간사)가 지역별 설명회 일정을 공지하며 입시정보 안내에 나선다.

2021학년 모의논술 일정도 구체화되고 있다. 현재 성균관대 한양대 인하대 건국대의 4개교가 올해 모의논술 일정을 공지했다. 성대의 경우 고교배포형 모의논술을 실시한다. 각 고교별로 자료를 수령하는 대로 논술고사를 개별 시행할 수 있다. 한대는 6월13일, 인하대는 6월20일 각각 모의논술을 진행할 예정이다. 건국대의 경우 6월 중으로 온라인 모의논술을 실시할 계획이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코로나19 #대입온라인설명회 #2021대입 #2021수시 #성균관대 #한양대 #인하대 #건국대 #연세대 #고려대 #이화여대 #가톨릭대 #광운대 #동국대 #중앙대 #숭실대 #서울시립대 #서울여대 #공군사관학교 #포스텍 #KAIST #DGIST #UNIST #국군간호사관학교 #지스트대학(GIST)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AI융합대학원 인하대 한양대ERICA 부산대 충남대 4개교 선정


[베리타스알파=강태연 기자] AI분야 석박사 인재를 양성하는 ‘AI대학원’에 연세대 한양대 UNIST가 올해 추가 선정됐다. 기존 고려대 성균관대 KAIST 포스텍 지스트대학 5개교에 3개를 더해 8개교체제로 확대되면서 수요자들의 선택지가 넓어졌다. 올해부터 AI대학원 프로그램 내 새로운 트랙으로 신설된 ‘AI융합대학원’에서는 인하대 한양대ERICA 부산대 충남대등 4개 교가 선정됐다. AI대학원으로 선정된 각 대학에는 5년간 90억원을 지급하며, 단계평가를 거쳐 최대 5년을 추가해 10년간 190억원까지 추가로 지원 받는다. AI융합대학원은 대학별 여건과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운영이 가능해, 학과개설이 필수요건인 기존의 AI대학원 보다 선정기준이 완화된 게 특징이다. 기준이 완화된 만큼 지원기간과 규모가 최대 3년간 41억원으로 AI대학원보다는 적은 편이지만, 학과신설 시 전임교원 이동 등의 문제로 AI대학원을 신청하지 못한 대학들이 지원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이와 같은 내용을 담은 ’AI대학원 프로그램 확대 개편방안‘을 12일 공개했다.

AI대학원에는 KAIST 포스텍 지스트대학 고려대 성균관대 5개대학이 지난해 처음으로 선정됐다. 지난해 3월 고려대 성균관대 KAIST 3개대학이 먼저 선정됐고, 9월 2차 모집에는 포스텍 지스트대학 2개교가 추가 선정됐다. 과기정통부는 “AI 대학원 프로그램 뿐 아니라 AI 관련학과 신/증설, 교원의 겸직허용 등 제도적 정비를 비롯해 미래를 대비한 전국민 SW/AI 교육 확대 등 다각적인 AI 인재확충의 정책적인 노력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인공지능 #AI대학원 #연세대 #한양대 #UNIST #고려대 #성균관대 #KAIST #포스텍 #지스트대학 #인공지능전문인력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MIT 세계1위.. KAIST 전기/전자 학과별 17위 ‘최고’


[베리타스알파=손수람 기자] 2020 QS 세계대학 학과순위 기술/공학 분야에서 국내대학 가운데 KAIST가 16위로 가장 높은 성적을 냈다. 지난해 26위에 비해 10계단 순위가 오른 결과다.

영국의 대학 평가 기관 QS(Quacquarelli symonds)가 4일 공개한 ‘2020 QS 세계대학 학과별 순위(QS World university rankings by subject 2020)에 의하면 KAIST는 기술/공학분야에서 국내대학이 이름을 올린 5개학과에서 전부 국내1위를 차지했다. 학과별로 컴퓨터공학/정보시스템36위 화학공학23위 토목/구조공학33위 전기/전자공학17위 기계/항공공학22위의 세계순위였다. KAIST가 기술/공학분야에서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한 학과는 전기/전자공학이다. 지난해 20위에서 17위로 3계단 상승했다. 올해 KAIST는 컴퓨터공학/정보시스템 전기/전자공학 기계/항공공학 순위는 오른 반면, 화학공학과 토목/구조공학의 경우 소폭 떨어진 모습이다.

KAIST를 포함해 서울대22위 고려대53위 성균관대55위 포스텍57위 연세대79위 한양대79위 경희대193위 부산대286위 서강대339위 중앙대345위 지스트대학345위 세종대355위 인하대380위 경북대401-450위 이화여대401-450위 건국대401-450위 순으로 국내대학이 이름을 올렸다. 

세계대학으로 범위를 확장하면 올해도 MIT가 기술/공학분야 세계1위를 차지했다. 학과별로 살펴보면 컴퓨터공학/정보시스템 화학공학 토목/구조공학 전기/전자공학 기계/항공공학의 5개학과에서 모두 1위였다. 자원공학에서만 이름을 올리지 못했을 뿐이다. 

올해 QS 기술/공학 분야에 해당하는 학과는 지난해와 동일하게 분류해 순위를 매겼다. 컴퓨터공학/정보시스템(Computer Science & Information Systems) 화학공학(Engineering Chemical) 토목/구조공학(Engineering CiviI & Structural) 전기/전자공학(Engineering Electrical & Electronic) 기계/항공공학(Engineering Mechanical, Aeronautical & Manufacturing), 자원공학(Engineering Mineral & Mining)의 총 6개 학과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0QS세계대학평가 #학과별순위 #기술공학분야 #카이스트 #서울대 #고려대 #성균관대 #포스텍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MIT 세계1위.. KAIST 재료과학 학과별 19위 ‘최고’


[베리타스알파=강태연 기자] QS 세계대학 학과순위 자연과학분야에서 국내대학 가운데 서울대가 29위로 가장 높은 성적을 냈다. 지난해 27위보다는 하락한 순위다.

영국의  대학 평가 기관 QS(Quacquarelli symonds)가 최근 공개한 '2020 QS 세계대학 학과별 순위(QS World university rankings by subject 2020)에 따르면, 자연과학분야에서 서울대는 화학공학22위 지구해양과학51-100위 환경과학48위 지리학34위 재료과학21위 수학47위 물리/천문학36위를 차지했다. 7개학과 중 6개학과에서 국내대학 1위의 기록이다. 재료과학에서의 순위가 21위로 가장 높았으며 지난해 38위를 기록한 지리학이 올해 34위로 약진한 특징이다.

서울대를 포함해 KAIST44위 고려대74위 성균관대79위 포스텍94위 순으로 국내대학 톱5였다. 이어 연세대108위 한양대146위 부산대253위 경북대286위 이화여대311위 경희대342위 지스트대학399위 전남대451-500위 전북대451-500위 세종대451-500위 서강대451-500위 순이다. 

올해 자연과학 분야는 지난해와 동일한 화학(Chemistry), 지구해양과학(Earth & Marine Sciences), 환경과학(Environmental Sciences), 지리학(Geography), 재료과학(Materials Science), 수학(Mathematics), 물리/천문학(Physics & Astronomy) 등 7개 학과로 구성됐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0QS세계대학평가 #학과별순위 #자연과학분야 #서울대 #카이스트 #고려대 #성균관대 #포스텍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3개교 기존 성격.. 4개교 신설 선정기준 완화한 융합성격


[베리타스알파=강태연 기자] 석박사급 AI인재를 양성하는 ‘AI대학원 프로그램’에서 올해 7개 대학원을 신규 선정한다.이에따라 지난해 처음 선정된 AIST 포스텍 지스트대학 고려대 성균관대등 5개 포함 모두 12개의 AI대학원이 운영된다. 올해 신설되는 7개 가운데 3곳은 지난해와 동일한 성격의 AI 고급/전문과정 프로그램, 나머지 4곳은 처음 도입되는 AI 융합과정 프로그램이라는 차이가 있다. 올해  처음 도입되는 AI융합대학원은 대학별 여건과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운영이 가능해, 학과개설이 필수요건인 기존의 AI대학원 보다 선정기준이 완화된 게 특징이다. 기준이 완화된 만큼 지원기간과 규모가 최대 3년간 41억원으로 AI대학원보다는 적은 편이지만, 학과신설 시 전임교원 이동 등의 문제로 AI대학원을 신청하지 못한 대학들의 경쟁이 치열할 전망이다. AI대학원 프로그램 사업공고는 13일부터 내달 13일까지 진행되며 4월 중 신규 대학원 선정결과가 발표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이와 같은 내용을 담은 ’AI대학원 프로그램 확대 개편방안‘을 12일 공개했다.

AI대학원 지원사업은 미국 중국 등 해외 주요국에서 인공지능에 특화된 전문학과를 설립해 인공지능 인재를 양성하는 흐름에 맞춰 추진됐다. AI융합대학원 신설 이전의 기존 AI대학원은 AI대학원은 AI핵심(Core)지식과 융합역량(AI+X)을 갖춘 석박사급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과정이 특징이다. AI기초 핵심이론/심화 응용연구/프로젝트 최신기술특론 등 AI특화 커리큘럼을 제공하고, 7명이상의 전임교원을 구성해야 사업선정이 가능하다. 매년 신입생 기준 40명이상(2019년 20명)의 학생 정원도 확보해야 한다. 프로그램을 통해 전임교원 확충, AI특화 교과개발, AI교육과정 확충 등이 이뤄지고 있다. 사업이 시작된 2019년에는 KAIST 포스텍 지스트대학 고려대 성균관대 5개대학이 처음으로 선정됐다. 지난해 3월 KAIST 고려대 성균관대 3개대학이 먼저 선정됐고, 9월 2차 모집에는 포스텍 지스트대학 2개교가 추가 선정됐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대학원 #인공지능교육 #AI인재양성 #KIAST #지스트대학 #고려대 #성균관대 #포스텍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