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리타스알파=김경 기자] -선발권 없는 서울 비강남 일반고의 한계 넘어서.. 정시체제도 계획
한영고는 일반고도 특목자사고만큼 폭 넓은 교육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입증한 학교다. 배정방식으로 신입생을 받은 일반고이면서 교육특구가 아닌 지역의 학교임에도 전국 정상급 진학실적을 내고 있기 때문이다. 베리타스알파가 매년 실시하는 조사에 의하면, 한영고의 5년간 서울대 합격실적은 2015학년 9명(수시8명/정시1명), 2016학년 9명(수시9명), 2017학년 13명(수시11명/정시2명), 2018학년 13명(수시11명/정시2명), 2019학년 14명(수시14명)이다. 고려대 연세대에도 수시중심의 실적을 이어오고 있다. 고대의 경우 2017학년 9명(수시8명/정시1명), 2018학년 12명(수시12명), 2019학년 14명(수시13명/정시1명)의 합격실적이다. 연대의 경우 2017학년 9명(수시7명/정시2명), 2018학년 9명(수시9명), 2019학년 17명(수시17명)의 합격실적이다. 서울대 고대 연대 모두 수시에 기반한 합격실적이 특징인 셈이다. 진학실적만으로 학교의 교육력을 평가할 수는 없겠지만, 수시 학종체제에 안착한 일반고 가능성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사실만으로도 공교육 롤모델로 손색없다. 합격자수 자체가 전국권 우수고교로 입증될만한 실적이지만 수시중심의 실적이라는 점이 더욱 의미가 크다. 학교의 시스템과 구성원 전체의 경쟁력이 결집한 결과이기 때문이다. 정시수능이 문제풀이 위주의 경직된 수업으로 따라갈 수밖에 없는 반면, 수시학종은 고교 내의 살아있는 활동적 교육을 통해 인성교육까지 끌어낼 수 있다는 장점에 공교육 정상화를 이끌 수 있다는 강점을 지닌 입시체제다. 한영고는 학종체제 중심으로 선발권 없는 비강남 일반고의 한계를 뛰어넘는 실적으로 공교육 체제의 선도모델로 손색이 없다.
<교육과정운영과 진학지도 맞물린 최상의 시스템>
한영고의 교육은 교육과정의 운영과 진학지도가 맞물린 최상의 시스템으로 돌아가는 최대 강점을 지닌다. 일반고임에도 특목자사못지않은 진학실적을 낼 수 있는 원동력으로, 구성원의 협심과 자부심이 돋보인다. 유제숙 교무기획부장은 “학교의 진학지도는 혼자 할 수 없다. 나와 닮은 이를 찾아 가깝게 지내며 함께 고민하고 이뤄내야 한다”며 “한영고엔 이 같은 동료와 후배교사들이 많다. 학생을 위해 뭔가를 해야 한다고 판단이 든다면, 이뤄내기 위해 교사들이 힘을 합쳐 교과와 학년을 막론하고 똘똘 뭉치는 특징이 있다”고 설명했다. 유 부장은 진학지도부장을 거쳐 현재 교무기획부장으로 2015개정교육과정을 학교 내 교육과정에 녹여내는 데 전문성을 발휘하고 있다. 유 부장에 이어 진학지도를 담당하는 정지택 진학지도부장 역시 “교사간 협업”을 강조했다. “아이들을 위해서라면 일단 하고 보자는 게 한영고 교사들의 특징이다. 큰 틀의 사랑으로 아이들을 품는다. 학부모와 학교가 함께 교육한다는 정서도 깔려 있다. 진학교육이 중요하지만 인성교육 역시 중요하다는 공감대를 가지고 시스템적으로 움직이고 있다. 정책이 바뀌어도 한영고의 교육특징은 계속 성과를 낼 것”이라 자부했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영고 #한영고등학교 #2020고입 #일반고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304424&utm_source=TISTORY&utm_medium=social
'고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추천고교] 공주 한일고, 전국최강을 호령하는 남학교의 힘 (0) | 2019.11.27 |
---|---|
[2020추천고교] 학교유형 장점 결집한 新공교육모델 한민고 (0) | 2019.11.27 |
[2020추천고교] 심중섭 교장 체제 원년 맞은 당곡고 ‘주목’ (0) | 2019.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