톱500까지 국내 11개교..톱1000위까지 32개교


[베리타스알파=강태연 기자] 2020 ARWU순위에서 국내1위는 올해도 서울대가 기록했다. 중국 상하이자오퉁대가 15일 발표한 ‘2020 세계대학학술순위’에서 서울대는 세계101-150위권을 기록하며, 처음 ARWU순위가 발표된 2003년부터 18년 연속 국내1위 자리를 지켰다. 국내대학 가운데 101-150위권에 위치한 대학은 서울대가 유일했다. 이어 한양대 KAIST 고려대 성균관대 연세대(영문 알파벳순)가 함께 201-300위권을 기록했다. 지난해 151-200위권으로 국내2위를 기록한 성균관대가 하락하고, 한양대가 301-400위권에서 한 단계 상승한 결과다. 공동순위는 ARWU가 공개한 알파벳 순서에 따랐다.

ARWU(Academic Ranking of World Universities) 순위는 매년 상하이자오퉁대가 발표하는 세계대학 학술순위다. 서울대는 첫 해인 2003년 152-200위권으로 이름을 올린 후, 2005년 101-152위권으로 반등했다가 2006년부터 2009년까지는 151-202위권, 152-200위권 등으로 잠시 내려앉았다. 2010년 이후부터는 101-150위권으로 올라선 후 올해까지 11년 연속 같은 순위를 유지하고 있다. 

앞서 공개된 ARWU 분야별 순위의 경우 별도의 평가기준을 적용해 자연과학 공학 생명과학 의료과학 사회과학 5개과학분야에서 세부항목 54개과목의 순위를 보여준다. 자연과학8개 공학22개 생명과학4개 의학6개 사회과학14개다. 과목별 순위에서도 서울대가 국내대학 중 자연과학 공학 생명과학 의학 분야에서 과목별 1위를 가장 많이 기록했다. 자연과학의 경우 8개과목 중 5개과목, 공학은 22개과목 중 8개과목, 생명과학 4개과목 중 3개과목, 의학의 경우 6개과목 가운데 5개과목에서 국내1위를 기록했다. 사회과학 분야만 유일하게 고려대가 14개과목 중 7개과목에서 국내1위를 기록해 최다 과목 1위에 이름을 올렸다.

ARWU는 세부순위를 100위까지만 공개한다. 101위 이후로는 일정구간을 묶어 발표한다. 이전까지는 800개대학의 명단을 공개했지만 지난해부터 1000개대학까지 범위를 넓혔다. 101위-150위, 151-200위로 200위까지는 50개단위로 묶었고, 201위부터 1000위까지는 100개단위로 묶어 발표한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RWU순위 #2020세계대학학술순위 #서울대학교 #한양대학교 #KAIST #고려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연세대학교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정시 입결 경제학부 1위.. 경영대 정치외교 톱 3


[베리타스알파=권수진 기자] 서울대가 수시 학종 합격자의 교과 성적을 최초로 공개했다. 대입정보포털 ‘어디가’ 사이트에는 서울대를 비롯한 185개대학의 수시 학종 교과성적 합격선, 정시 수능 환산점수 합격선이 공개됐다. ‘어디가’에서 대입정보센터-대학별 입시정보-전형 평가기준 및 결과공개 코너를 참고하면 된다.

이번 공개는 교육부가 대입제도 공정성 강화 방안으로 모든 대학의 학종 평가기준과 전형결과를 공개해야 한다는 방침에 따라 올해부터 어디가 사이트를 통해 공개하도록 한 데 따른 것이다. 서울대를 포함해 그동안 학종 성적 결과를 미공개한 주요 대학들도 모집단위별로 세부적으로 합격자 교과성적의 50%컷 70%컷을 공개했다.

다만 유의해야 할 점은 학종은 정성평가 전형으로, 교과성적을 줄세워 뽑는 전형이 아니라는 점이다. 대학이 공개한 입결은 참고사항일 뿐, 정량적으로 산출한 교과성적 자체가 합불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한다. 오종운 종로학원하늘교육 평가이사는 “서울대는 수시 학종평가가 정성평가로 이뤄지므로 교과성적이 1.0등급이라 하더라도 불합격하는 경우가 있고, 내신 등급이 0.1~0.2등급 부족하다고 해도 비교과성적 등이 우수해 역전하여 합격하는 사례도 많으므로 해당 입시 결과를 참고해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1대입 #서울대학교 #어디가 #대입정보포털 #2020서울대입시결과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전년 국내 톱10 동일.. '9년연속' 세계1위 하버드대, MIT 스탠퍼드대 톱3


[베리타스알파=강태연 기자] 비영리 교육단체 CWUR(세계대학랭킹센터)이 선정하는 ‘2020 CWUR 세계대학순위’에서 서울대가 국내대학 정상을 지켰다. 세계순위는 31위로 지난해 33위에서 2계단 올라갔다. 국내 톱5는 지난해와 동일했다.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성균관대 KAIST 순이다. 2018랭킹에서 서울대 UST 성대 연대 고대 순에서 지난해부터 톱5 구성이 변경됐다. 특히 UST의 순위가 2018랭킹 2위에서, 2019랭킹에서는 평가지표 비중 등이 바뀌면서 26위로 떨어졌었고, 올해 27위로 더 하락한 모습이다.

올해 국내 대학 랭킹은 지난해 변화된 평가지표 비중이 유지되면서 비슷한 모습을 보였다. CWUR은 교육수준(Quality of Education) 동문취업(Alumni Employment) 교수수준(Quality of Faculty) 논문실적(Research Output) 우수논문(High-Quality Publications) 논문영향력(Influence) 논문인용도(Citations)의 7개지표를 통해 순위를 선정한다. 2018랭킹까지 논문인용도(10%)를 제외한 나머지 지표의 비중이 모두 15%로 동일했지만, 지난해부터 교육수준과 동문취업의 비중이 각 25%로 상향돼 나머지 5개지표 비중은 10%로 통일됐다. 교수/동문들의 명성에 따라 순위가 좌우되는 ‘명성평가’의 특징이 강화된 모습이다.

순위와 함께 공개하는 지표항목에서의 변화도 유지됐다. 2018랭킹까지는 haems 평가지표의 개별순위가 전부 따로 공개됐지만, 지난해부터 교육수준(Quality of Education) 동문취업(Alumni Employment) 교수수준(Qualitiy of Faculty) 논문성과의 4가지 평가지표(논문실적/우수논문/논문영향력/논문인용도)를 한 번에 합산해 공개지표를 새롭게 만들었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WUR순위 #세계대학랭킹센터 #2020CWUR세계대학순위 #서울대학교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합격자서류 면접후기 시뮬레이션'나도 사정관' 주목


[베리타스알파=권수진 기자] 서울대가 2021 학생부종합전형 대비를 위한 정보 웹진 ‘아로리 8호’를 19일 공개했다. 아로리는 ‘지인’ ‘지식인’을 뜻하는 우리 옛말로 서울대 학종을 대비하는 수험생을 위해 발간하는 학생부종합전형 특화 정보 웹진이다. 올해는 격년으로 발생되는 ‘서울대 지원자들이 가장 많이 읽은 책’ 코너도 공개됐다. 합격자 서류, 면접 후기, 면접및구술고사 기출문제 등 입시 핵심 정보를 담고 있어 서울대 지원자들이 반드시 참고해야 할 자료다. 

서울대가 아로리를 공개하기 시작한 것은 2013학년부터로 올해 8년째를 맞았다. 아로리 대표 콘텐츠인 '나도 입학사정관'은 이용자가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코너다. 공과대학 기계공학부, 농업생명과학대학 농경제사회학부, 생활과학대학 소비자아동학부 아동가족학전공 각 3명, 총 9명의 2020학년 합격생 서류를 공개했다. 

2020학년 수시 일반 면접및구술고사 기출 제시문과 출제근거도 '자료창고'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신입생이 들려주는 면접이야기'에서는 면접 준비 과정, 면접실 분위기를 확인할 수 있으며 면접 준비를 위한 조언을 담고 있어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는 설명이다. 

'우리교실 이렇게'는 고교와 대학연계의 관점 중 가장 중요한 요소인 교육과정의 연계를 위해 마련한 코너다. 교실 수업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선생님들의 진솔한 이야기가 추가되어 학교 현장의 모습을 선생님들의 생생한 이야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추억의 서울대' '전공돋보기' '파릇파릇 서울대' 등은 서울대 졸업생, 학과 교수님, 신입생 등 다양한 서울대 구성원 인터뷰 내용을 담아 학생들에게 진로와 진학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1대입 #2021서울대 #서울대학교 #아로리8호 #서울대학생부종합전형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정시 ‘출결/봉사활동 감점 삭제’.. ‘고3 부담 완화 조치’


[베리타스알파=손수람 기자] 서울대가 코로나19로 불리해진 고3 수험생을 구제하기 위해 2021수시 지역균형선발전형(지균)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완화한다. 11일 교육계에 의하면 서울대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에 제출한 대입전형 변경안이 심의를 통과했다. 변경안에는 올해 지균 수능최저를 3개영역 ‘2등급이내’에서 ‘3등급이내’로 변경하는 방안이 담겼다. 정시에서 출결과 봉사활동에 따른 감점이 없도록 하는 내용도 포함된 것으로 전해진다.

수능최저 완화로 고3 수험생이 서울대 지균을 지원하는 것에 부담이 크게 줄어들 전망이다. 서울대 지균은 학교장 추천이 필요하며, 고3 수험생만 지원 가능한 전형이다. 현재 공개된 2021수시 모집요강에 의하면 서울대는 지균으로 올해 761명을 선발한다. 전체 모집인원의 23.8%다. 그렇지만 매년 100명 정도 수능최저를 충족하지 못해 최종 불합격하는 상황이다. 수시 미등록인원은 정시로 이월해 선발한다. 지균 선발인원이 정시로 넘어가면서 N수생들이 유리해진다고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수능최저 기준을 낮춰 고3 수험생들의 지균 합격기회를 높인 셈이다.

서울대 지균은 주로 서류와 면접을 통해 평가를 진행한다. 일반전형과 달리 전체 모집단위에 수능최저를 적용하고 있다. 현재 요강상 음대를 제외한 대부분의 모집단위의 수능최저는 국 수(가/나) 영 사/과(2과목모두) 중 2등급이내 3개로 공지된 상태다. 변경된 전형안이 확정되면서 수능최저가 3등급이내 3개로 조정된다.

올해 탐구영역 2등급 충족기준이 다소 완화된 것도 수험생들이 유의해야 할 지점이다. 이전까진 2개과목 각2등급이내를 받아야 했지만, 2021학년부터 2개과목 등급합4이내로 기준이 변경됐다. 2개영역 3등급으로 수능최저가 완화될 경우 탐구 충족기준은 두 과목 합이 6이내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과탐 응시자는 서로 다른 Ⅰ+Ⅱ나 Ⅱ+Ⅱ의 조합을 선택해야 한다. 물Ⅰ+화Ⅱ나 물Ⅱ+화Ⅱ와 같은 조합으로만 수능최저를 충족할 수 있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1대입 #서울대학교 #2021수시지역균형선발전형 #지균수능최저완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원서접수 9월23일부터 25일까지


[베리타스알파=권수진 기자] 서울대는 올해 수시에서 2447명을 모집한다. 전체 모집인원의 76.5%로, 2020학년 78.5%에서 감소했다. 지균은 2020학년 756명에서 2021학년 761명으로 소폭 늘었지만 일반전형이 1739명에서 1686명으로 줄어들었다. 서울대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수시요강을 18일 공개했다.  

올해 서울대 수시 특징은 지균 수능최저의 완화다. 작년까지는 탐구 2등급을 충족하려면 2개과목 모두 2등급 이내여야 했지만, 올해부터는 2개과목 등급합이 4등급 이내인 경우 충족 기준을 만족한다. 3등급 기준을 인정하려면 2과목 합이 6등급 이내면 된다.

학사조직 개편에 따라, 기존 기계항공공학부에 소속된 기계공학전공과 우주항공공학전공은 기계공학부와 항공우주공학과로 명칭을 바꾼다. 디자인학부(공예)는 공예과로, 디자인학부(디자인)은 디자인과로 변경된다. 

<지균 761명 모집.. 수능최저 완화>
수시 지균으로는 761명을 모집한다. 소속 고교장의 추천을 받은 2021년 2월 국내 고교 졸업예정자가 지원 가능한 전형으로, 재수생은 지원할 수 없는 전형이다. 조기졸업예정자도 지원 불가다. 고교별 추천인원은 2명이다. 각 고교는 학교장 직인이 날인된 추천자 명단을 서류제출 기간 내에 공문으로 제출해야 한다. 

전형방법은 미대와 음대를 제외하면 서류70%와 면접30%를 합산한다. 미대 디자인 역시 동일하다. 디자인을 제외한 나머지 미대 음대 모집단위는 실기평가를 합산한다. 동양화 서양화 조소 공예는 서류40%+면접30%+실기30%, 성악 작곡(작곡전공) 기악 국악은 서류50%+면접10%+실기40%, 작곡(이론전공)은 서류40%+면접30%+실기30%다. 동양화 서양화 조소 공예는 면접에서 실기평가 내용과 포트폴리오(동양화 서양화)를 참고자료로 활용한다. 작곡(작곡)은 면접에서 실기평가 내용, 포트폴리오를 참고자료로 활용한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1대입 #서울대학교 #2021서울대수시 #2021서울대전형방법 #2021서울대수능최저 #2021서울대수시전형일정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여전히 수시부터 무게둬야’.. SKY 정시 3900명 37.2%


[베리타스알파=손수람 기자] 2022학년 최상위권 수험생들의 이목이 집중되는 SKY입시의 가장 뚜렷한 특징은 정시 모집인원의 확대다. 정원내 기준 'SKY'로 불리는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의 2022학년 정시 선발비율은 37.2%다. 2021학년의 26%에 비해 11.2%p나 증가한 수치다. 세 대학 합산 총 1만487명의 정원내 모집인원 중 3900명을 정시로 선발한다. 정원외까지 포함할 경우 정시 모집인원은 4223명으로 늘어난다. 특히 SKY는 수시이월에 따른 정시인원 확대폭이 타 대학에 비해 큰 편이다. 자연계열에서 의대 입시의 영향권이기 때문이다. 의대 중복합격의 영향으로 상당수 인원이 수시등록을 포기한다. 실제 3개대학은 수시이월로 매년 5~7% 가량 정시 모집비율이 늘어왔다. 2022학년 43.6%인 연대의 정시비율이 실질적으로 50%에 이를 수 있는 셈이다.

수험생들은 2022전형계획에서도 정시의 변화에 주목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특히 서울대와 고대는 정시에서 영어의 영향력이 강화될 전망이다. 절대평가인 영어는 통상 대학별로 등급별 점수를 환산해 반영한다. 서울대와 고대는 전형총점에서 감점하는 방식이고, 연대의 경우 환산된 점수를 일정비율 반영해 합산한다. 그동안 서울대와 고대는 영어 환산점수의 등급별 점수격차가 크지 않았다. 상대적으로 영어에서 낮은 등급을 받은 학생들이 다른 영역이 성적을 토대로 역전이 가능했다. 그렇지만 두 대학 모두 2022학년부터 등급간 격차가 확대되면서 사실상 영어 3등급이하 학생들에게 역전의 기회가 사라진 것으로 평가된다.

SKY대학의 정시 군이동도 눈에 띈다. 서울대는 2022학년부터 나군으로 이동한다. 그에 따라 고대와 연대는 가군으로 자리를 옮겼다. 최상위 3개대학의 군이동의 영향은 다른 대학들로 파급될 수밖에 없다. 기존 가/나군 모집을 모두 하던 대학도 인문/자연계열 모집의 군이동이 있다. 숙명여대와 한양대가 가군으로 이동했다. 가군모집이었던 대학 중 나군으로 이동한 곳은 서강대다. 이화여대는 인문자연 모집을 나군으로 옮긴다. 수험생들은 상위대학의 군이동에 따른 수험생들의 지원성향 변화를 주목해야 한다. 다른 지원자들이 타 군에서 지원할 대학과 모집단위를 정확히 예측해야 합리적인 전략 수립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정시확대 기조가 뚜렷하지만 수험생들은 수시대비를 포기해서는 안 된다. 실제 2022대입에서 서울대 고대 연대를 기준으로 여전히 수시비율이 62.8%를 차지하기 때문이다. 이른 시기부터 정시에 집중하면서 수시 지원 기회를 스스로 막을 필요가 없는 셈이다. 교과성적이나 학생부 기재사항 등에서 장점이 있다면 수시지원부터 검토하는 것이 합격 가능성을 높이는 방법이다. 내신의 우위가 크게 없다면 SKY 중 유일하게 논술을 실시하는 연대를 겨냥할 수도 있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2대입 #현재고2전형계획 #서울대학교 #고려대학교 #연세대학교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일반 면접및구술고사 지리교육(인문학 사회과학) 약대(수학(자연)) 신설


[베리타스알파=권수진 기자] 2022학년 서울대 정시 비중이 30.3%로 확대된다. 정시확대의 여파로 수시 지균은 664명(20.5%), 일반은 1592명(49.2%)으로 줄어든다. 정부 주도로 정시확대가 강제되면서 2022학년 30%, 2023학년 40%까지 확대해야 하는 데 따른 변화다.

서울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2 신입학생 입학전형 주요사항’을 29일 발표했다. 서울대는 전형계획 발표 시점에 ‘신입학생 입학전형 주요사항’을 발표하고 모집요강 발표 전 ‘대학입학전형’을 한 차례 더 발표한다. 주요사항에서는 기본적인 전형내용과 변경사항 등을 짚고 있다.

지난해 4월 미리 예고한대로 정시에서 교과이수 가산점을 적용한다. 2022학년부터는 ‘가군’ 선발이 아닌 ‘나군’ 선발로 이동하는 점도 유의해야 한다. 2022학년 전반적인 입시 기조는 그대로 유지한다. 

<정시 나군으로 이동.. 교과이수 가산점 신설>
2022학년 모집인원은 지균 664명(20.5%), 일반 1592명(49.2%)으로 각 2021학년 761명(23.8%), 1686명(52.7%)에서 축소된다. 반면 정시가 2021학년 751명(23.2%)에서 2022학년 979명(30.3%)으로 확대된다. 전체 모집인원이 2021학년 3198명에서 2022학년 3235명으로 확대된 것은 약대의 영향이다. 2022학년부터 약학대학 약학계열이 대학 신입학생을 모집하면서 정원내 모집인원이 증가했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2대입 #2022서울대 #서울대학교 #2022신입학생입학전형주요사항 #2022서울대전형방법 #2022서울대수능최저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지균 수능최저 완화..수시 일반 '축소' 53.1%


[베리타스알파=권수진 기자] 서울대는 올해 정시 비중이 23.2%로 확대된다. 수시 지균은 756명(23.8%)으로 모집인원과 비율을 그대로 유지하는 대신 수시 일반전형이 1686명(53.1%)으로, 전년 1739명(54.7%)에서 줄어들고, 대신 정시 가군으로 올해 736명(23.2%)을 모집, 전년 684명(21.5%) 대비 확대됐다. 

서울대는 2021 대입 상세내용을 담은 ‘2021 서울대 대학 신입학생 입학전형’을 21일 공개했다. 서울대는 전형계획 발표 시점에 ‘신입학생 입학전형 주요사항’을 발표하고 모집요강 발표 전 ‘대학입학전형’을 한차례 더 발표한다. 주요사항에서는 기본적인 전형내용과 변경사항 등을 짚는 반면, ‘대학입학전형’에서는 모집요강에 버금가는 상세정보가 안내되는 특징이다. 서울대 입학본부 측은 “자세한 내용은 2021학년 대학 신입학생 수시모집 안내(5월 예정)와 정시모집 안내(9월 예정)를 확인해야 한다”고 밝혔다. 

올해 변경사항으로 이미 예고됐던 사안은 지균 수능최저의 완화다. 작년까지는 탐구 2등급을 충족하려면 2개과목 모두 2등급 이내여야 했지만, 올해부터는 2개과목 등급합이 4등급 이내인 경우 충족 기준을 만족한다. 3등급 기준을 인정하려면 2과목 합이 6등급 이내면 된다.

입학전형 안내를 통해 새로 알려진 사항은 모집단위명의 변경이다. 서울대 학사조직 개편에 따라, 기존 기계항공공학부에 소속된 기계공학전공과 우주항공공학전공은 기계공학부와 항공우주공학과로 명칭을 바꾼다. 디자인학부(공예)는 공예과로, 디자인학부(디자인)은 디자인과로 변경된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1대입 #서울대학교 #2021서울대전형계획 #2021서울대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검정고시 확대'..고교유형별 일제히 축소


[베리타스알파=권수진 기자] 2020 서울대 정시 최초합격에서도 N수생이 확대됐다. 재수생을 포함한 N수생 비중이 58.8%에 달했다. 2017학년 46.4%, 2018학년 55%, 2019학년 55.4%, 2020학년 58.8% 순으로 꾸준한 확대세다. 서울대가 정시 합격자를 분석해 발표하기 시작한 2014학년 이후 최대치다. 2020수능이 만만치 않은 난이도로 출제되면서 반복학습이 유리한 정시 특성상 N수생이 강세를 띤 것으로 분석된다. 서울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0 서울대 정시모집 선발결과’를 3일 발표했다. 

고교유형별로 보면 일반고를 비롯, 영재학교를 제외한 대부분 고교유형에서 실적이 하락했다. 일반고의 경우 지난해 553명(60.8%)에서 올해 519명(59.9%)으로의 축소다. 법적으로는 자사고와 더불어 자율고로 분류되지만 성격상 일반고와 별 차이가 없는 자공고를 포함한 수치다. 반면 검정고시 출신 합격자가 지난해 13명에서 올해 30명으로 2배 이상 확대된 특징이다. 일찌감치 내신을 포기하고 검정고시를 선택한 학생들의 실적이 확대되면서, 검정고시가 장기적 대입전략이 한가닥으로 급부상할 전망이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대학교 #2020서울대정시최초합격 #2020서울대정시모집선발결과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