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까지 총장 선임'.. ‘허가시점 총선 직전 호남표심 겨냥 행보'


[베리타스알파=손수람 기자] 한전공대(KepcoTech) 법인 설립 허가가 이뤄지면서 2022년 3월 개교한다는 목표가 탄력 받을 전망이다. 교육부는 3일 세 번째로 열린 대학설립심사위원회를 통해 한전공대의 학교법인 설립을 최종적으로 의결했다. 그동안 한전공대의 법인 설립은 재원마련방안의 근거부족 등을 이유로 두 차례 보류됐었다. 일각에선 2022년 3월 개교도 불투명해질 수 있다는 시각도 나왔다. 그렇지만 이날 법인이 허가되면서 한전은 법인등기와 개교 준비 등 후속 조치를 계속 진행한다. 법인 이사회를 거쳐 6월까지 총장선임을 마치겠다는 계획이다.

그렇지만 현장에선 여전히 재원마련에 대한 의구심이 이어지고 있다. 2031년까지 총 1조6112억원이 필요할 것으로 예측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에너지 정책 기조로 한전의 적자가 계속 누적되고 있어 한전공대 설립이 역효과를 불러올 것이라는 지적도 제기된다. 한 교육전문가는 “교육적 측면에서 이공계열 특화대학의 신설은 반길 만하다. 그렇지만 대학의 성과는 단기간에 나타나지 않는다. 우수한 인력이 장기간에 걸친 연구를 통해 주목할 만한 결과를 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연구의 환경을 제공하는 대학의 안정적인 운영이 중요한 이유”라며 “탈원전으로 적자를 누적하고 있는 한전상황이 불안하다. 다수의 전문가들은 '탈원전' 정책을 유지하는 과정에서 한전의 재정악화는 심화하는 것이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 한전이 1조가 넘는 비용을 대학에 지속적으로 투입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설립허가의 시점이 총선직전이라는 점도 선거용일 뿐 향후 미래에 대한 진지한 고민으로 보이지 않는다 ”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전공대 #KepcoTech #이공계특성화대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학부400명 에너지 분야 우수인재 양성/공급


[베리타스알파=권수진 기자] 한전공대(KepcoTech) 설립지가 전남 나주시 빛가람동 부영CC(컨트리클럽)으로 확정됐다. 부지를 결정지은 만큼 한전공대 설립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다만 한전공대 설립은 해결할 숙제가 여전히 상당하다. 탈원전으로 적자폭이 커진 한전공을 설립이 강행할경우 재정지원이 불가피한 상황인데다 예비타당성조사나 관련법 제정 등의 절차가 남아있는 만큼 추후 진행상황을 지켜봐야 할 전망이다. 한전공대는 설립비용만 5000억원이상이 투입되고 매년 500억원 이상 투자가 필요한 상황이지만 한전은 이미 지난해 4138억원 적자를 냈다.

한전공대는 에너지 분야 우수인재를 양성/공급한다는 목표다. 현재 한전은 나주에 에너지 신산업 중심지로 키울 빛가람에너지밸리를 추진하는 중이다. 에너지밸리 사업은 한전이 2014년 전남 혁신도시에 입주하면서 내건 사업이다. 조환익 한국전력 사장은 지난해 청문회에서 “국제에너지기구가 발표한 데 따르면 신재생 에너지, 에너지 효율 제고 사업의 세계시장 규모는 1경4000조에 달한다”면서 “한전공대는 일반종합대학이 아니라 이같은 유망한 미래산업에서 해당 분야 인재를 키우자는 취지”라고 설명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베리타스 알파 기사 전문보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42458&utm_source=TISTORY&utm_medium=social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