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리타스알파=김경 기자] -재단 교체와 전국단위 자율학교 지정 견인차로 치열한 교사들의 열정

 남해해성고는 학생수 감소로 폐교위기에 내몰렸던 시골학교도 전국구로 올라설 수 있다는 희망을 보여준 학교다. 학년당 100명 안팎에 불과한 규모에도 대도시 명문고못지않은 실적을 꾸준히 내고 있기 때문이다. 베리타스알파가 매년 실시하는 대입실적 조사에 의하면, 남해해성고는 2015대입부터 5년간 서울대11명 고려대37명 연세대25명의 합격자를 냈다. 특히 2017대입에선 서울대5명 합격자 중 3명을 수시로, 2018대입에선 서울대 합격자 4명 전원을 수시로 합격시키면서 사교육효과보다는 고교체제가 결정적인 수시형 공교육모델을 선보였다. 전교생 기숙사 체제로 사교육이 침범할 여지가 없는 남해해성고가 다양한 공교육 프로그램으로 학종시대를 겨냥한 결과다. 교사들의 치열한 모색과 고민은 교육특구못지않은 교사들의 진학지도 열정에 더해 지역특색이 묻어나는 ‘해성농장’ ‘해성멘토링’ ‘해성학습플래너’ 등 남해해성고만의 독특한 커리큘럼으로 이어졌다. 지역특징에 맞게 공교육의 새로운 모델을 선보인 남해해성고의 저력은 교육부의 전국단위 모집 폐지 강행으로 위기에 몰린 게 현실이다. 하지만 폐교위기에 몰리다 전국구 명문으로 올라선 남해해성고 반전의 핵심은 벼랑 끝에서도 치열했던 교사들의 열정이었음을 감안하면 환경변화의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주목해야 할 학교임에는 분명하다. 

<‘반전’ 기반 이룬 재단 교체와 농어촌 자율학교 지정>
한려수도 내부의 관광지로 각광받는 국토의 남단 경남 남해군. 따뜻한 남쪽 바닷가의 남해해성고는 한때 폐교 위기에 내몰렸다. 농어촌 학생수가 급감하며 2000년대 초반 전교생수가 150명을 밑돌았던 때문이다. 줄어만 가는 남해지역 학생들로는 정원을 채우기조차 쉽지 않았다. 당장 학교 운영을 이어갈 수 있을지조차 불투명했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남해해성고 #남해해성고등학교 #2020고입 #전국단위모집 #농어촌자율학교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전교생 기숙사체제 공교육 시스템..'저렴한 학비와 학교별 특색교육'


[베리타스알파=강태연 기자] 전국단위 선발을 실시하는 자율학교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고입 동시실시로 인해 특목자사고와 경쟁한다. 수요자인 예비고1학생과 학부모들에게 선택의 폭이 넓어진 만큼, 매년 서울대 실적에서 톱100에 포함되는 자율학교 대표주자인 한일고(공주) 공주사대부고 남해해성고 등 수시체제에서 뛰어난 실적을 내온 자율학교들은 놓치지 말고 점검해야 할 선택지다. 특히 학교유형으로 일반고인 만큼 재지정평가로 인한 지정취소의 리스크가 없다는 점에서 특목자사고 대비 안정성이 부각되면서 올해 관심이 뜨거울 전망이다.  

농어촌 자율학교의 최대강점은 전교생 기숙사 체제를 바탕으로 한 완벽한 공교육 시스템이다. 학교 특성상 농촌 지역에 자리해 불편한 지리적 여건이 오히려 강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외부 활동에 제한을 받는 만큼 정규수업 시간은 물론, 방과 후 시간까지 학생의 하루 24시간을 관리하면서 물샐 틈 없는 탄탄한 공교육 체계를 갖췄다. 기숙사 같은 호실에 살며 다져진 끈끈한 선후배, 사제지간에서 우러나오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은 학종중심 대입지형을 만나 시간이 지날수록 노하우가 쌓이고 있다. 사교육 없이 진학성과를 내면서 학비는 일반고 수준으로 저렴하다는 점은 농어촌 자율학교의 이점이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0고입 #자율학교 #한일고 #공주사대부고 #거창고 #남해해성고 #거창대성고 #풍산고 #부산장안고 #장안제일고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70260&utm_source=TISTORY&utm_medium=social



올해 신입생 92명 모집.. 원서접수 12월10일부터 13일까지


[베리타스알파=윤은지 기자] 남해해성고는 학생 수 감소로 폐교위기에 내몰렸던 시골학교도 전국구로 올라설 수 있다는 희망을 보여준 학교다. 학년당 100명 안팎에 불과한 규모에도 대도시 명문고 못지않은 실적을 꾸준히 내고 있다. 지난해 서울대4명 고려대9명 연세대2명 서강대4명 성균관대9명 한양대7명 중앙대6명 경희대4명을 비롯해 KAIST1명 포스텍1명 사관학교1명 교대2명 등 특수대학에서도 실적이 나왔다. 2017대입실적은 더욱 화려하다. 서울대5명 고대7명 연대8명 서강대2명 성대4명 한대8명 중대7명 경희대1명에, KAIST1명 포스텍1명 GIST대학2명 UNIST2명 경찰대학1명 사관학교2명 교대2명의 실적도 있다. 전교생 기숙사 체제로 사교육이 침범할 여지가 없는 남해해성고가 다양한 공교육 프로그램으로 학종시대를 겨냥한 결과다. 교사들의 치열한 모색과 고민은 ‘해성농장’ ‘해성멘토링’ ‘해성학습플래너’ 등 남해해성만의 독특한 커리큘럼으로 이어졌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베리타스 알파 기사 전문보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35528&utm_source=TISTORY&utm_medium=social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