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리타스알파=손수람 기자] 전국단위 자사고 10개교 가운데 2018학년 기준 학생 1인당 장학금이 가장 많은 학교는 현대청운고다. 현대청운고는 지난해 약 3억3500만원의 장학금을 지급해 1인당 장학금 약 63만원을 기록했다. 한 해 전인 2017학년 약 61만원의 장학금으로 하나고를 제친 이후 2년연속 1위다. 학교법인 현대학원의 재정이 든든히 뒷받침한 결과로 보인다. 북일고와 하나고가 각50만원으로 현대청운고의 뒤를 잇는다. 전국단위 자사고 10곳의 학생 1인당 평균 장학금은 24만3035원으로 2017학년 21만6121원보다 늘었다.


​학생 1인당 장학금은 교육부 정보공개 사이트 학교알리미에 공시된 ‘2019 장학금 수혜현황’ 자료를 분석한 것이다. 2019년에 공시한 2018학년 자료다. 장학금은 2018학년 학교회계, 학교발전기금회계에서 학생 장학금으로 지급된 총 금액이 기준이다. 1인당 장학금은 수혜인원을 기준으로 공시한 장학금액을 전체 학생수로 나눠 산출했다. 수혜인원을 기준으로 1인당 장학금을 산출하면 실질적으로 지급되는 금액을 알 수 있지만 소수 학생에 장학금이 편중돼 학생 1인당 혜택이 커 보이는 착시현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장학총액을 전체 학생수로 나눈 값을 1인당 장학금으로 여기는 통념도 고려했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65322&utm_source=TISTORY&utm_medium=social



[베리타스알파=손수람 기자] 32개 광역단위 자사고 가운데 1인당 학비 대비 교육비 투자가 가장 많은 학교는 경문고다. 2019학년 예산 기준 경문고의 1인당 교육비는 1855만원, 학비는 772만원으로 실질적인 교육투자 규모를 나타내는 교육비 학비 차액은 1083만원에 달했다. 지난해 1위였던 충남삼성고가 1066만원(교육비1882만원/학비816만원)의 차액으로 뒤를 이었다. 두 학교는 학생이 낸 학비보다 1인당 1000만원이상 더 교육활동에 투자하고 있었다. 전국단위 자사고에서 교육비 학비 차액이 가장 컸던 현대청운고(831만원)보다 많은 규모다. 이어 경일여고(대구) 491만원, 세화고(서울) 309만원, 인천포스코고(인천) 294만원 순으로 교육비 학비 차액 톱5였다.


​올해 광역단위 자사고 32곳의 1인당 평균 교육비는 1031만원, 학비는 819만원이다. 실질 교육투자 규모인 1인당 교육비 학비 차액은 평균 212만원이다. 지난해 평균 차액 142만원보다 큰 폭으로 증가해 눈길을 끈다. 1인당 학비가 지난해 795만원에서 올해 819만원으로 올랐지만, 교육비도 937만원에서 1031만원으로 증가하면서 실질적인 교육투자 규모는 확대됐다. 1인당 교육비와 학비는 교육부 정보공시 사이트 학교알리미에 공시된 2019학년 3월 기준 사립학교 교비회계 예/결산서를 토대로 산출한 것이다. 1인당 학비는 등록금과 수익자부담금을 합산한 학부모부담수입 총액을 전체 학생수로 나눠 계산했다. 1인당 교육비는 학교알리미에 공시된 학교별 학생 1인당 교육비 자료를 활용했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65380&utm_source=TISTORY&utm_medium=social



[베리타스알파=유수지 기자] 전국 8개 과학영재학교(예술영재 포함) 가운데 2018학년 기준 학생 1인당 장학금이 가장 많은 학교는 한국과학영재학교(이하 한국영재)다. 한국영재는 지난해 4억2394만2800원의 장학금을 지급해 1인당 장학금 108만1487원을 기록했다. 영재학교 평균 장학금 28만133원과 비교해 4배에 가까운 금액이다. 나머지 7개영재학교가 교육부 소속 공립학교인 것과 달리 유일하게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부) 소속인 한국영재는 국립학교로 정부의 대규모 과학기술진흥기금을 지원받고 있다. 이어 광주과고가 약38만원, 대구과고가 약15만원으로 톱3다. 지난해 영재학교 장학총액은 7억229만3040원으로 1인당 장학금은 28만133원이다.


학생 1인당 장학금은 교육부 정보공개 사이트 학교알리미에 공시된 ‘2019 장학금 수혜현황’ 자료를 분석한 것이다. 2019년에 공시한 2018학년 자료다. 장학금은 2018학년 학교회계, 학교발전기금회계에서 학생 장학금으로 지급된 총 금액이 기준이다. 1인당 장학금은 수혜인원을 기준으로 공시한 장학금액을 전체 학생수로 나눠 산출했다. 수혜인원을 기준으로 1인당 장학금을 산출하면 실질적으로 지급되는 금액을 알 수 있지만 소수 학생에 장학금이 편중돼 학생 1인당 혜택이 커 보이는 착시현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장학총액을 전체 학생수로 나눈 값을 1인당 장학금으로 여기는 통념도 고려했다. 학교알리미 공시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한국영재는 학교에 개별적으로 문의해 장학현황을 파악했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65533&utm_source=TISTORY&utm_medium=social



[베리타스알파=유수지 기자] 전국 20개과고 가운데 2018학년 기준 학생 1인당 장학금이 가장 많은 학교는 경남과고다. 2015학년에 이어 4년연속 1위다. 경남과고는 지난해 1억7656만7780원의 장학금을 지급해 1인당 장학금 63만2859원을 기록했다. 과고 평균 장학금인 14만1051원과 비교하면 5배에 육박하는 금액이다. 이어 경산과고가 약32만원, 부산과고가 약20만원으로 뒤를 잇는다. 2018학년 20개 과고의 전체 장학금은 6억1300만6450원으로 2017학년 6억2706만8940원보다 다소 줄었다. 장학금 총액이 감소한 탓에 1인당 평균장학금도 2018학년 14만1051원으로 전년 14만4220원 보다 소폭 줄었다.


​학생 1인당 장학금은 교육부 정보공개 사이트 학교알리미에 공시된 2019 장학금 수혜현황 자료를 분석한 것이다. 장학금은 2018학년 학교회계, 학교발전기금회계에서 학생 장학금으로 지급된 총 금액이 기준이다. 1인당 장학금은 수혜인원을 기준으로 공시한 장학금액을 전체 학생수로 나눠 산출했다. 수혜인원을 기준으로 1인당 장학금을 산출하면 실질적으로 지급되는 금액을 알 수 있지만 소수 학생에 장학금이 편중돼 학생 1인당 혜택이 커 보이는 착시현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장학총액을 전체 학생수로 나눈 값을 1인당 장학금으로 여기는 통념도 고려했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65492&utm_source=TISTORY&utm_medium=social



[베리타스알파=강태연 기자] 전국 30개외고 가운데 2018학년 기준 1인당 장학금이 가장 많은 학교는 경기외고다. 경기는 지난해 1억5840만원의 장학금을 지급해 1인당 장학금은 25만3035원이다. 외고 평균 장학금인 8만1396원과 비교하면 3배가 넘는다. 2017학년에 1위를 기록한 대일외고는 1인당 장학금이 29만2263원에서 2018학년 8만8557원으로 대폭 하락했다. 장학금 총액이 2017학년 2억3088만7640원에서 6348만8000원으로 크게 축소된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 1인당 장학금은 경기외고에 이어 이화외고 25만1762원, 과천외고 20만7060원 순이다.


학생 1인당 장학금은 교육부 정보공개 사이트 학교알리미에 공시된 ‘2019 장학금 수혜현황’ 자료를 분석한 것이다. 2019년에 공시한 2018학년 자료다. 장학금은 2018학년 학교회계, 학교발전기금회계에서 학생 장학금으로 지급된 총 금액이 기준이다. 1인당 장학금은 수혜인원을 기준으로 공시한 장학금액을 전체 학생수로 나눠 산출했다. 수혜인원을 기준으로 1인당 장학금을 산출하면 실질적으로 지급되는 금액을 알 수 있지만 소수 학생에 장학금이 편중돼 학생 1인당 혜택이 커 보이는 착시현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장학총액을 전체 학생수로 나눈 값을 1인당 장학금으로 여기는 통념도 고려했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65366&utm_source=TISTORY&utm_medium=social



[베리타스알파=강태연 기자] 전국 7개국제고 가운데 2018학년 기준 학생 1인당 장학금이 가장 많은 학교는 청심국제고다. 청심국제고는 지난해 6598만3000원의 장학금을 지급해 1인당 장학금은 21만6043원이다. 7개국제고 전체 평균 장학금인 3만3050원과 비교하면 5배가 넘는 수준이다. 다만 2017학년보다 장학금 총액은 1858만7000원 하락했다. 부산국제고가 2만6351원, 서울국제고가 2만2839원으로 뒤를 이었다. 2018학년 7개국제고의 전체 장학금은 1억543만90원으로 2017년 1억2996만7500원보다 줄었다.


학생 1인당 장학금은 교육부 정보공개 사이트 학교알리미에 공시된 ‘2019 장학금 수혜현황’ 자료를 분석한 것이다. 2019년에 공시된 2018학년 자료다. 장학금은 2018학년 학교회계, 학교발전기금회계에서 학생 장학금으로 지급된 총 금액이 기준이다. 1인당 장학금은 수혜인원을 기준으로 공시한 장학금액을 전체 학생수로 나눠 산출했다. 수혜인원을 기준으로 1인당 장학금을 산출하면 실질적으로 지급되는 금액을 알 수 있지만 소수 학생에 장학금이 편중돼 학생 1인당 혜택이 커 보이는 착시현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장학총액을 전체 학생수로 나눈 값을 1인당 장학금으로 여기는 통념도 고려했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65136&utm_source=TISTORY&utm_medium=social



#전국단위자사고장학금 #광역단위자사고장학금 #국제고장학금 #외고장학금 #과고장학금 #영재학교장학금 #2020고입 #베리타스알파 #고등학교장학금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