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고 평균 73.77%, 국제고 평균 71.05%.. '재수비율 톱' 경기외고 고양국제고


[베리타스알파=손수람 기자] 전국 30개외고 중에서 2019학년 2월 졸업자 대비 4년제대학 진학자를 가린 ‘4년제대학 진학률’은 미추홀외고가 가장 높았다. 졸업생 187명 가운데 159명이 4년제대학을 진학해 85.03%의 진학률이었다. 경남외고(83.92%) 경북외고(83.62%) 제주외고(83.33%) 울산외고(82.42%) 순으로 톱5였다. 7개교 체제인 국제고 가운데선 세종국제고가 유일하게 80%대의 진학률로 1위를 차지했다. 졸업자 100명 중 82명이 4년제대학에 진학해 82%의 진학률이었다. 인천국제고 76.47%, 청심국제고 75.49% 순으로 뒤를 이었다. 재수비율의 경우 경기지역의 학교들이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외고는 43.9%의 비율로 외고 가운데 재수생 비중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분석된다. 고양국제고와 동탄국제고 역시 각각 37.5%, 35.57%의 비율로 국제고 사이에서 1,2위였다. 

현재 학교알리미가 공개하는 2019학년 진학률 데이터엔 전문대 실적은 포함되는 반면 4년제 해외대는 별도로 다뤄지고 있다. 그렇지만 특목고나 자사고 지원을 고민하는 수요자들의 경우 전문대보단 4년제 해외대가 실질적인 진로에 더 가깝다. 따라서 자료를 재가공해 해외대 중에서 전문대를 제외한 4년제대학 진학인원만 추출한 후, 국내대학 진학자와 합산했다. 국내와 해외의 4년제대학에 진학한 전체 학생수를 기준으로 4년제대학 진학률을 계산한 셈이다. 전문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의 과정을 거쳐 국내와 해외 전문대 진학인원을 합산해 파악했다. 또한 학교알리미 자료에서 기타 항목의 경우 진학과 취업을 모두 택하지 않은 학생들이 집계된다. 사실상 ‘재수생’으로 판단되는 부분이다. 외고나 국제고는 학생 대부분이 4년제대학 진학이나 재수를 택한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일부 학생들은 전문대나 취업을 진로로 정한 경우도 있다. 전문대 진학자의 경우 국내와 해외 여부를 따로 구분하지 않았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58435&utm_source=TISTORY&utm_medium=social

 

[2020고입잣대] 2019 외고/국제고 진학률.. '외고1위 미추홀, 국제고1위 세종' - 베리타스알파

[베리타스알파=손수람 기자] 전국 30개외고 중에서 2019학년 2월 졸업자 대비 4년제대학 진학자를 가린 ‘4년제대학 진학률’은 미추홀외고가 ...

www.veritas-a.com

32개교 평균 53.28%.. '재수비율 60% 이상' 휘문 중동

 

[베리타스알파=손수람 기자] 광역단위 자사고 가운데 2019학년 2월 졸업자 대비 4년제대학 진학자를 가린 ‘4년제대학 진학률’은 남성고가 83.28%로 가장 높았다. 대전대신고 충남삼성고 대성고(대전) 대건고 순으로 톱5였다. 서울지역 자사고는 단 한 곳도 포함되지 않았다. 서울지역 21개교 중 진학률이 가장 높았던 선덕고도 68.23%에 불과했다. 실제로 서울 광역자사고 전체의 4년제대학 진학률 평균은 47.01%였다. 평균적으로 4년제대학에 진학한 학생들이 절반도 되지 않았던 셈이다. 67.95%였던 비서울 광역자사고들의 진학률은 물론 다른 학교유형들보다도 현저하게 낮은 수치다. 결국 상당수 학생들이 대학 진학을 포기하고 재수를 선택했다고 여겨진다. 실제로 휘문고와 중동고의 경우 재수생 비율이 60%가 넘는 것으로 추정된다.

광역자사고들의 재수비율이 전반적으로 높은 이유는 졸업자들의 기대수준이 높고 정시 중심의 학교체제를 갖춘 곳이 많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실제로 종로학원하늘교육 오종운 평가이사는 수시보다 정시합격비율이 높은 고교일수록 재수비율이 높다는 분석을 내놨다. 오 이사는 학교알리미의 2016~2018학년 고등학교 졸업생의 진로현황과 2016~2018학년 서울대 고등학교별 수시 정시 합격자의 등록자 기준 통계를 토대로 광역자사고 사이에서도 정시합격비율이 높은 고교의 재수생의 비중이 더 컸다고 설명했다. 지역별로도 서울(37.7%) 경기(23.9%) 인천(19.9%) 순으로 재수비율이 높았다. 결국 명문대학으로의 진학 선호도가 높으면서도 수시 중심의 성과가 부족한 대다수 광역자사고들의 재수생 비중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58279&utm_source=TISTORY&utm_medium=social

 

[2020고입잣대] 2019 광역자사고 진학률.. 남성 대전대신 충남삼성 톱3 - 베리타스알파

[베리타스알파=손수람 기자] 광역단위 자사고 가운데 2019학년 2월 졸업자 대비 4년제대학 진학자를 가린 ‘4년제대학 진학률’은 남성고가 83...

www.veritas-a.com

10개교 평균 65.68%.. '2019서울대 합격자' 외대부 하나 상산 순

 

[베리타스알파=손수람 기자] 전국단위 자사고 중 2019학년 2월 졸업자 대비 4년제대학 진학자를 가린 ‘4년제대학 진학률’은 하나고가 76.33%로 가장 높았다. 졸업자 207명 가운데 158명이 4년제대학에 진학했다. 뒤를 이어 인천하늘고(76.17%) 김천고(74.79%) 외대부고(73.91%) 민사고(68.49%) 북일고(66.28%) 광양제철고(65.18%) 포항제철고(59.68%) 상산고(52.33%) 현대청운고(51.5%) 순이었다. 전국자사고의 경우 영재학교나 과고에 비해 4년제대학 진학률이 낮은 특징이다. 재수를 택한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많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전국자사고 중에서 진학률 최하위권인 상산고와 현대청운고의 경우 졸업자의 절반에 가까운 학생들이 재수생인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학교알리미가 공개하는 진학률 데이터엔 전문대 실적은 포함되는 반면 4년제 해외대는 별도로 다뤄지고 있다. 그렇지만 특목고나 자사고 지원을 고민하는 수요자들의 경우 전문대보단 4년제 해외대가 실질적인 진로에 더 가깝다. 따라서 자료를 재가공해 해외대 중에서 전문대를 제외한 4년제대학 진학인원만 추출한 후, 국내대학 진학자와 합산했다. 국내와 해외의 4년제대학에 진학한 전체 학생수를 기준으로 4년제대학 진학률을 계산한 셈이다. 전문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의 과정을 거쳐 국내와 해외 전문대 진학인원을 합산해 파악했다. 또한 학교알리미 자료에서 기타 항목의 경우 진학과 취업을 모두 택하지 않은 학생들이 집계된다. 사실상 ‘재수생’으로 판단되는 부분이다. 전국단위 자사고의 경우 대부분의 학생들이 4년제대학이나 재수를 택한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일부 학생들은 전문대나 취업을 진로로 정한 경우도 있다. 전국자사고 졸업자 가운데 해외 전문대로 진학한 인원은 없었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58125&utm_source=TISTORY&utm_medium=social

 

[2020고입잣대] 2019 전국자사고 진학률.. 하나 인천하늘 김천 톱3 - 베리타스알파

[베리타스알파=손수람 기자] 전국단위 자사고 중 2019학년 2월 졸업자 대비 4년제대학 진학자를 가린 ‘4년제대학 진학률’은 하나고가 76.3...

www.veritas-a.com

20개과고 평균 85.68%.. '재수비율 20% 이상' 강원 제주 세종 한성


[베리타스알파=손수람 기자] 전국 20개과고 중 2019학년 2월 졸업자 대비 4년제대학 진학자를 가린 ‘4년제대학 진학률’은 창원과고가 가장 높았다. 졸업생 76명 가운데 73명이 4년제대학으로 진학해 96.05%의 진학률을 보였다. 울산과고(94.64%) 전남과고(92.11%) 충북과고(90.91%) 대전동신과고(90.79%) 순으로 톱5였다. 모두 90% 이상의 진학률이었다. 반면 한성과고(78%) 세종과고(77.55%) 제주과고(76.32%) 강원과고(70.45%) 등 4개교는 70%대 진학률로 최하위권이었다. 영재학교와 마찬가지로 재수비율이 높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현재 학교알리미가 공개하는 진학률 데이터엔 전문대 실적은 포함되는 반면 4년제 해외대는 별도로 다뤄지고 있다. 그렇지만 특목고나 자사고 지원을 고민하는 수요자들의 경우 전문대보단 4년제 해외대가 실질적인 진로에 더 가깝다. 따라서 자료를 재가공해 해외대 가운데 전문대를 제외한 4년제대학 진학인원만 추출한 후, 국내대학 진학자와 합산했다. 국내와 해외의 4년제대학에 진학한 전체 학생수를 기준으로 4년제대학 진학률을 계산한 셈이다. 또한 학교알리미 자료에서 기타 항목의 경우 진학과 취업을 모두 택하지 않은 학생들이 집계된다. 사실상 ‘재수생’으로 판단되는 부분이다. 과고의 경우 국내와 해외의 전문대에 진학하거나 취업을 선택한 인원은 한명도 없었다. 4년제대학 진학자와 기타로 분류된 인원만으로 진학률을 분석한 이유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57983&utm_source=TISTORY&utm_medium=social

 

[2020고입잣대] 2019 과고 진학률.. 창원 울산 전남 톱3 - 베리타스알파

[베리타스알파=손수람 기자] 전국 20개과고 중 2019학년 2월 졸업자 대비 4년제대학 진학자를 가린 ‘4년제대학 진학률’은 창원과고가 가장 ...

www.veritas-a.com

평균 92.68%.. '재수비율 톱3' 서울과고 대구과고 인천영재

 

[베리타스알파=손수람 기자] 전국 8개영재학교 가운데 2019학년 2월 졸업자 대비 4년제대학 진학자를 가린 ‘4년제대학 진학률’은 세종영재가 가장 높았다. 졸업자 88명 전원이 4년제대학으로 진학해 100%의 진학률이었다. 다른 영재학교들도 대부분 90% 이상의 진학률을 보였다. 사실상 대학원까지 진로를 결정한 학생들이 많은 만큼 4년제대학 진학자가 많을 수밖에 없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서울과고는 유일하게 80%대의 진학률이었다. 상대적으로 다른 학교들에 비해 재수를 택한 학생들이 많기 때문으로 보인다.  

현재 학교알리미가 공개하는 진학률 데이터엔 전문대 실적은 포함되는 반면 4년제 해외대는 별도로 다뤄지고 있다. 그렇지만 특목고나 자사고 지원을 고민하는 수요자들의 경우 전문대보단 4년제 해외대가 실질적인 진로에 더 가깝다. 따라서 자료를 재가공해 해외대 가운데 전문대를 제외한 4년제대학 진학인원만 추출한 후, 국내대학 진학자와 합산했다. 국내와 해외의 4년제대학에 진학한 전체 학생수를 기준으로 4년제대학 진학률을 계산한 셈이다. 영재학교의 경우 국내와 해외의 전문대에 진학하거나 취업을 선택한 인원은 한명도 없었다. 4년제대학 진학자와 사실상 ‘재수생’으로 판단되는 기타로 분류된 인원만으로 진학률을 분석한 이유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57850&utm_source=TISTORY&utm_medium=social

 

[2020고입잣대] 2019 영재학교 진학률..세종영재 100% '최고' 대전 대구 톱3 - 베리타스알파

[베리타스알파=손수람 기자] 전국 8개영재학교 가운데 2019학년 2월 졸업자 대비 4년제대학 진학자를 가린 ‘4년제대학 진학률’은 세종영재가 ...

www.veritas-a.com

'3년연속 90%이상' 일신여.. 거창대성 남해해성 '전국단위 자율학교 눈길'

 

[베리타스알파=손수람 기자] 서울소재 204개 일반고(자공고 포함) 중 2019학년 졸업자 대비 4년제대학 진학자를 집계한 ‘4년제대학 진학률’이 가장 높은 곳은 신현고였다. 신현고는 졸업생 254명 가운데 188명이 4년제대학 진학을 선택해 74.02%의 진학률을 기록했다. 이어 서문여고(71.46%) 서울미술고(70.41%) 경동고(69.76%) 한국삼육고(69.63%) 대원여고(60.7%) 영파여고(60.34%) 서라벌고(59.93%) 문일고(59.74%) 동대부고(52.71%)까지 톱10이다.

그렇지만 서울지역의 4년제대학 진학률은 전국에서 가장 뒤떨어지는 수준이었다. 서울소재 204개교의 평균 진학률은 39.63%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최저치였다. 전국 평균인 54.42%와 차이도 컸다. 30%대 진학률을 기록한 유일한 지역이기도 했다. 지역 내에서는 가장 진학률이 높았던 신현고도 전국순위는 158위에 불과했다. 서문여고는 221위, 서울미술고는 253위였다. 10위인 동대부고의 전국 순위는 891위로 전국 1607개교 가운데 중하위권에 속할 정도였다. 졸업생 절반 이상이 4년제대학 진학을 선택한 고교도 14곳에 그쳤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57673&utm_source=TISTORY&utm_medium=social

 

[2020고입잣대] 2019 일반고 진학률 톱100.. 브니엘 경산여 살레시오 톱3 - 베리타스알파

[베리타스알파=손수람 기자] 전국 1607개 일반고(자공고 포함) 가운데 2019학년 2월 졸업자 대비 4년제대학 진학자를 가린 ‘4년제대학 진...

www.veritas-a.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