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자 5만9059명 중 불합격/중복합격자 8811명.. 배정 고교에 입학신고/등록 31일까지


[베리타스알파=강태연 기자] 학령인구 감소로 인해 2020학년 서울 후기고 신입생이 전년 대비 3.5% 감소한 5만248명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5만2096명에서 1848명 감소했다. 올해 총 205개교에 배정된 신입생 수는 지원자 5만9059명에서 불합격자(148명), 자사고/외고/국제고 합격자(8417명), 예술/체육중점학급 합격자(246명) 등 8811명을 제외한 수치다. 유형별로는 과학중점학급 지원자 1278명을 포함한 일반대상자 4만9409명, 체육특기자 663명, 정원내 특례 6명, 정원외 170명이다. 신입생들은 29일 오전10시부터 출신 중학교 또는 관할 교육지원청에서 배정통지서를 받아, 30일부터 31일까지 배정받은 고교에 입학신고/등록을 마쳐야 한다.  서울교육청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0학년 교육감 선발 후기고 신입생 배정 결과’를 29일 공개한다고 밝혔다. 

서울교육청은 후기고 배정 대상자가 감소한 원인으로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결과라고 분석했다. 현재 학령인구는 ‘흑룡띠’, ‘황금돼지띠’ 등 출생아가 많아지는 특정 연도를 제외하고 매년 급속도로 감소하고 있다. 지난해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이 공개한 ‘2019년 교육기본통계’에 따르면, 1년 동안 유초중고 학생수가 17만명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고교생의 경우 2018년 153만8576명에서 2019년 141만1027명으로 줄어, 12.7549명(8.3%)이 감소했다. 중학생도 133만4288명에서 129만4599명으로 줄어 3만9729명(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0고입 #인구감소 #학령인구감소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311144&utm_source=TISTORY&utm_medium=social




‘경쟁률 3대1미만’ 84% 증가.. KAIST 42.6대1 ‘최고’


[베리타스알파=손수람 기자] 2020학년 전국 4년제대학 10곳 중 8곳이 전년에 비해 정시경쟁률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신입생 미달이 본격화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종로학원하늘교육은 전국 205개 4년제대학의 정원내외 합산 기준 2020정시경쟁률이 4.58대1로 집계됐다고 20일 밝혔다. 2019학년의 5.52대1에 비해 떨어진 수치다. 실제 205개대학 중 무려 79%인 162곳의 경쟁률이 전년보다 낮아졌다. 지난해의 경우 전체 204개교 가운데 48%인 98곳만 정시경쟁률이 하락했다. 특히 동명대 대전대 한동대 부산가톨릭대 상명대(천안) 등은 경쟁률 감소폭이 두드러졌다. 대학 입장에서 사실상 미달로 보는 3대1미만의 경쟁률을 기록한 대학도 올해 46개교에 달했다. 지난해 25곳보다 84%나 증가했다. 

교육계에선 전체 대학의 약 80%가 경쟁률이 떨어진 상황을 가볍게 넘겨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학의 신입생 미충원 사태가 ‘줄폐교’로 이어질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되기 때문이다. 한 교육전문가는 “지난해 10월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전희경(자유한국) 의원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2019학년 대학입학정원이 그대로 유지된다고 가정할 경우 2020학년 입학가능자원 47만9376명에 비해 1만5824명 대입정원이 남는 것으로 나타났다. 10개정도의 대학이 문을 닫을 수 있다는 의미”라며 “특히 2024학년까지 대학입학가능자원이 급격히 감소해 12만1730명이 부족해질 것으로 예측된다. 대학입학정원의 24.58%에 불과해 사실상 입학정원의 4분의1이나 되는 입학자원이 부족해진다. 이 같은 ‘과다정원’은 2030학년까지 지속될 전망이다. 교육부의 적극적인 조치가 없다면 대학의 수도권 편중과 지역 격차가 심화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시경쟁률하락 #학령인구감소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310569&utm_source=TISTORY&utm_medium=social





1인당 월 29만1천원.. '6년 연속 증가'


[베리타스알파=손수람 기자] 지난해 초중고생 1인당 평균 사교육비는 월 29만1000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다시 갱신했다. 6년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는 모습이다. 학령인구 감소로 약 15만명 가까이 초중고 학생수가 줄었지만 사교육 총액 역시 19조원을 넘어서면서 전년보다 4.4% 증가했다. 교육계에선 입시혼란을 자초한 교육정책이 불안감을 양산하고 공교육 경쟁력이 약화시키면서 결국 사교육을 오히려 키웠다는 지적이 많았다. 한 교육전문가는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사교육비의 증가는 예고된 상황이었다. 대입과 고입을 가리지 않고 정책뒤집기를 반복하며 수요자들의 불안을 키웠기 때문이다. 급작스러운 입시정책의 변화가 수요자 혼란과 불안을 부추겨 사교육을 키우는 결과를 빚는다는 사실을 다시한번 확인한 셈이다. 공교육의 하향평준화를 겨냥한 정책방향도 사교육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고 본다. 특목자사 폐지를 통해 공교육의 경쟁력을 스스로 깎아 내림으로써 교육특구의 활성화와 사교육의 강화를 자초했다. 실제로 지역별로도 대표적인 교육특구가 위치한 서울 경기 대구 등의 월평균 사교육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사교육비가 가장 낮았던 지역은 공교육 체제가 잘 갖춰진 충남이었다. 공교육 강화로 사교육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고 드러났음에도 정부는 잘못된 방향으로 정책을 밀어붙이고 있는 것이다"고 지적했다. 실제 2007년부터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였던 사교육참여율은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2017년부터 2년 연속 증가세를 기록했다. 고교생의 경우 학생수가 13만명이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사교육비총액은 전년대비 2253억원이 증가한 5조 9348억원이었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베리타스 알파 기사 전문보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46696&utm_source=TISTORY&utm_medium=social


'학령인구감소에 덮친 불수능' ..17개대 중 15개대 하락


[베리타스알파=김경 기자] 상위17개대학의 정원내 기준 2019정시 경쟁률이 6.06대1로 지난해 6.81대1보다 하락했다. 모집인원이 53명 늘어난 데 그쳤지만, 지원자가 1만2598명이나 줄었다. 17개대학 중 경희대 숙명여대의 2개대학만 경쟁률이 상승했을 뿐, 건국대 고려대 단국대 동국대 서강대 서울대 서울시립대 성균관대 연세대 이화여대 인하대 중앙대 한국외대 한양대 홍익대의 15개대학은 경쟁률이 하락했다. 2015학년 이후 기준, 2018학년까지 연속상승해온 17개 대학 경쟁률이 이번에 꺾인 것이다. 특히 서울대는 2005학년 선택형 수능 도입 이후 14년만에 최저 경쟁률을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2019정시 경쟁률 하락원인을 '학령인구 감소추세에 덮친 불수능의 여파'로 꼽고 있다. 수시확대와 안정화로 인해 많은 상위권 수험생들이 이미 수시합격한 데다 '불수능'이라 불린 2019수능의 성적표를 납득하지 않는 수험생이 대거 발생, 일찌감치 재수행을 선택했다는 것이다. 올해 실시하는 2020수능은 현 교육과정 체제의 마지막 시험인 데다 재학생 수도 2019수능보다 6만여 명이나 줄면서 조금이라도 높은 가능성을 노린 재수행이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이 2019수능 일부 과목의 높은 난도에 대해 '사과'까지 하면서 2020수능이 2019수능보다는 쉽게 출제되리라는 기대가 작용한 것은 물론이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베리타스 알파 기사 전문보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40161&utm_source=TISTORY&utm_medium=social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