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기대 한림대 60%.. 단순 표점합 아닌, 대학별 환산점수 따져야


[베리타스알파=권수진 기자] 2020정시 자연계열에서 수학영역 반영비율이 높은 곳은 어디일까. 같은 성적을 가지고도 어느 대학에 지원하느냐에 따라 유불리가 달라질 수 있는 만큼 영역별 반영비율은 필수로 체크해야 할 요소다. 특히 올해는 수학이 어렵게 출제됐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수학에서 높은 성적을 거둔 학생이 더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 

공교육 대표 진학전문기관 서울교육연구정보원(서교연)은 2020정시설명회에서 활용한 자료집을 통해 소개한 ‘영역별 우수자를 위한 지원전략’에서 정리한 명단 가운데 상위15개대(관련기사: [2020정시] ‘대학마다 다른 영역반영비율’.. 자연계열 영역별 전략)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한국산기대(수능우수자 공학) 한림대가 수학을 60%까지 반영할 수 있다. 한림대의 경우 국영수 중 최상위 1개 영역을 60%로 반영해, 수학을 가장 잘 치른 경우여야 한다.

<2개영역 반영대학.. 한국산기대 한림대 수학 ‘60%’>
2020정시 자연계열(의학계열 제외)에서 2개영역을 반영하는 대학 중 수학 비중이 높은 곳은 한국산기대(수능우수자 공학)와 한림대다. 각 60% 비율로 반영한다. 한국산기대는 수능우수자전형으로 모집하는 공학계열에서 필수영역인 수학을 60%로 반영하며 국영탐(2과목평균) 중 1개를 40%로 합산한다. 수(가)를 선택할 경우 10%를 가산한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0대입 #2020정시 #지원전략 #중위권 #자연계열 #수학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307202&utm_source=TISTORY&utm_medium=social



특기자 폐지 추세.. 수학/과학 특기자 전형 줄어

 

[베리타스알파=권수진 기자] 자연계열 특기자전형은 사교육 유발 논란으로 매년 감소 추세지만 수학/과학 역량이 뛰어난 학생들에게는 여전히 포기할 수 없는 선택지다. 지난해에 비해서는 올해 선발전형이 줄어 문호가 좁아진 상태인 만큼, 만반의 준비를 갖춰 대비할 필요가 있다. 

올해 상위16개대학 중 SW특기자를 제외한 자연계열 특기자 전형은 고려대 특기자(자연계열), 고려대 사이버국방, 연세대 과학인재, 이화여대 과학특기자 등 4개전형이다. 지난해 선발을 실시했던 한국외대 과학특기자, 서강대 알바트로스창의는 올해 폐지됐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특기자면접 #2020대입 #수시전략 #자연계열 #선행학습영향평가 #고려대학교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51019&utm_source=TISTORY&utm_medium=social

 

[2020수시] 자연계열 특기자 면접 어떻게 나올까.. 상위대학 4개전형 - 베리타스알파

[베리타스알파=권수진 기자] 자연계열 특기자전형은 사교육 유발 논란으로 매년 감소 추세지만 수학/과학 역량이 뛰어난 학생들에게는 여전히 포기할 ...

www.veritas-a.com

의치한 15개교 259명 모집.. '수능최저 강화 대학 유의'


[베리타스알파=손수람 기자] 31개대학이 2020수시에서 자연계열 논술을 실시한다. 올해 모집인원은 지난해 7415명에서 600명 줄은 6815명이다. 최상위권 학생들이 대거 지원하는 의학계열은 전년보다 65명이 감소한 259명을 모집한다. 올해 연세대가 의예 논술모집을 폐지한 영향이다. 수시에서 논술전형의 비중이 꾸준히 줄어들고 있지만 자연계열 논술은 아직까지 수학과 과학에 자신 있는 학생들이 충분히 노려볼 수 있는 전형이다. 다수의 대학이 수리논술 위주의 시험을 실시하는 만큼 수학을 중심으로 학업역량을 키우는 것이 합리적이다. 특히 공교육정상화법의 영향으로 자연계열 논술문항이 수능과 상당부분 가까워져 논술과 수능을 병행하는 전략이 유효한 상황이다. 대부분 수능최저가 완화되고 있지만 올해 수능최저가 신설된 건대처럼 강화된 대학도 있어 지원자들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논술전형이 실시된 지 10년이 넘었기 때문에 대학마다 특징이 있고 출제유형도 어느 정도 공개된 상태다. 지원하려는 대학의 기출문제부터 충분히 파악하는 것이 논술 대비의 첫걸음이다. 수험생이 지원할 수 있는 대학은 최대 6곳이다. 따라서 선행학습영향평가보고서 등을 통해 지원하려는 모든 대학의 기출문제를 분석하는 데 그렇게 많은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최근 3개년 정도의 모의논술과 기출문제를 풀어보며 유형을 충분히 숙지해야 한다. 대부분의 대학들이 4월에서 7월 사이 실시하는 모의논술은 수험생들에겐 절호의 기회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47166&utm_source=TISTORY&utm_medium=social


수학 높다면 숙대 수학과 통계학과.. 과탐 높다면 한대 35%'최고'


[베리타스알파=윤은지 기자] 올해 정시에서 수학 반영비율이 가장 높은 대학은 어디일까. 정시는 대다수 대학이 수능100%로 합격자를 정한다. 학생부를 일부 반영하더라도 실질 반영비율은 매우 낮다. 수능성적이 당락을 결정하는 구조지만 단순히 수능총점이 높다고 해서 합격을 단언하기는 어렵다. 대학에 따라 국수영탐 영역별 반영비율을 다르게 설정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인문 모집단위는 국어 수학, 자연 모집단위는 수학 과탐을 높은 비율로 반영하는 경향이다. 동일한 총점이라도 반영비율에 따라 합격여부가 바뀔 수 있는 셈이다. 합격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영역별 반영비율을 곰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같은 대학이라도 모집단위에 따라 반영비율이 다르다는 사실도 눈여겨봐야 한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베리타스알파 기사 전문보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36063&utm_source=TISTORY&utm_medium=social


[베리타스알파=권수진 기자] 특기자전형은 사교육 유발 논란으로 매년 감소 추세지만 수학/과학 역량이 뛰어난 학생들에게는 여전히 포기할 수 없는 선택지다. 올해 수시에서 자연계열 특기자 모집을 실시하는 대학은 상위17개대학 기준 5개대학으로, 전체 608명을 모집한다. SW특기자로 분류되는 전형은 제외한 수치다. 고려대(자연계열) 연세대(과학공학인재/IT명품인재)의 규모가 압도적으로 각 237명, 278명을 모집한다.  

5개대학 모두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지 않으며 수능 이전 면접을 실시하는 공통점이 있다. 반면 면접방법에서 갈린다. 고대 연대 한국외대가 제시문 기반 면접을 실시하는 것과는 달리 서강대와 이화여대는 제시문 없이 제출 서류 기반 면접만 실시하는 차이다. 

제시문 기반 면접을 실시하는 경우 지난해 기출을 참고해 출제 유형을 파악하고 미리 대비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2단계 면접의 비중은 고대 자연계열 50%, 연대 과학공학인재/IT명품인재 30%, 외대 특기자(과학) 30% 등으로 1단계 서류평가 성적을 압도할만한 정도는 아니지만, 1단계 통과자들의 서류평가 점수 격차가 크지 않다는 점을 고려하면 면접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된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올해 자연계열 특기자 모집을 실시하는 대학은 고려대 연세대 서강대 이화여대 한국외대 등이다. 제출서류 기반 면접만 실시하는 곳도 있는 반면, 제시문 기반의 구술고사 형태인 면접도 있으므로 면접 유형을 파악한 대비가 필수적이다. /사진=베리타스알파DB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베리타스알파 기사 바로가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19512&utm_campaign=null&utm_source=TISTORY&utm_medium=social&utm_content=null


[베리타스알파=윤은지 기자] 2일 전국 대학의 2019학년 수시모집 요강이 발표되면서 올해 논술고사 일정의 윤곽이 드러났다. 자연계열 논술은 수능직후 주말인 11월17일에 무려 7개교의 일정이 중복된다. 11월18일과 그 다음주 주말인 11월24일, 25일에도 다수 대학의 일정이 겹친다. 가장 많은 대학의 논술고사 일정이 포진한 11월17일은 건국대 경희대 서강대 연세대 등 상위권대학이 즐비하고 숭실대 한국항공대 한대(에리카)도 같은 날 논술고사를 치를 예정이다. 대학들이 수험생을 배려해 일정중복을 최대한 피하려 애썼지만 수능 이후 논술고사를 치러야 하는 일정상 중복을 완전히 피할 수는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자연계열 최상위권 모집단위인 의대 중 경희대 연대를 비롯해 가톨릭대 울산대 등 4개교도 이날 논술고사 일정이 잡혀 있어 수험생들이 지원전략을 짜는 데 다소 애를 먹을 것으로 예상된다. 같은 대학이라도 모집단위에 따라 논술일정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수능최저 충족 가능여부와 논술고사 유형 등을 함께 고려해 지원전략을 세워야 한다.  

올해 성신여대와 한국기술교육대가 논술전형을 신설하면서 논술 실시대학은 33개교로 확대됐다. 인문계열 논술만 실시하는 한국외대와 경기대를 제외하면 자연계열 논술을 실시하는 대학은 모두 31개교다. 올해 성신여대와 한국산기대가 논술전형을 신설하면서 자연계열 논술 실시대학이 지난해 29개교에서 2곳 더 늘었다. 이 가운데 울산대는 의대 모집단위만을 대상으로 논술고사를 실시한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베리타스알파 기사 바로가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15552&utm_campaign=null&utm_source=TISTORY&utm_medium=social&utm_content=null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