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대 추가선정..서울대 18억1400만원 '최고'

 

[베리타스알파=유수지 기자] 고교교육기여대학지원사업(이하 기여대학사업) 중간평가결과에서 지원중단대학으로 선정됐던 10개 대학 가운데 고려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등 7개교가 재선정됐다. 교육부는 17일 ‘2019 고교교육기여대학지원사업 추가선정평가 결과’ 발표를 통해 재선정 7개교, 신규선정 4개교를 포함해 총68개교를 최종 선정했다고 밝혔다. 가장 관심이 쏠렸던 고대 성대 숙대는 모두 재선정됐으며, 지난해 사업에서 탈락했던 연세대도 2019년 신규선정 대학에 이름을 올렸다. 

올해는 2018~2019년 기여대학사업의 2차연도인 만큼 중간평가와 추가선정평가를 통해 2019년 계속지원여부를 평가/결정하는 해다. 평가는 2018년 사업 실적, 2019년 사업계획 위주 등으로 평가하되 대입전형 개선 유도라는 사업 목적에 따라 2020 2021 대입전형시행계획 등도 평가했다. 지난달 중간평가를 통해 계속지원대학 57개교가 우선 선정됐으며, 추가선정평가는 중간평가에서 지원중단대학으로 선정됐던 10개교를 포함해 신규신청대학 등 26개교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지원중단으로 선정됐던 대학 중 고대 성대 숙대 부산대 전북대 한동대 우석대가 재선정됐으며 서울과기대와 순천대 한경대 한국교원대는 2019 지원대학에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연세대 상명대 제주대 대구교대는 올해 신규대학으로 선정됐다. 제주대는 2014년 기여대학사업이 시작된 이후, 처음으로 명단에 올랐다. 2019년 기여대학사업은 68개대학을 대상으로 약 559억4000만원을 지원한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58137&utm_source=TISTORY&utm_medium=social

 

고교교육기여사업 고대 성대 숙대 재선정.. ‘2022정시 연계' 논란 여전 - 베리타스알파

[베리타스알파=유수지 기자] 고교교육기여대학지원사업(이하 기여대학사업) 중간평가결과에서 지원중단대학으로 선정됐던 10개 대학 가운데 고려대 성균...

www.veritas-a.com

'교과 면접비중 지적 모호' '정시확대상황의 사정관규모 지적 애매'

 

[베리타스알파=권수진 기자] 고교교육기여대학지원사업(이하 기여대학사업)에서 고려대가 결국 탈락했다. 교육부가 7일 발표한 ‘2019 고교교육기여대학지원사업 중간평가 결과’에 따르면 2018년 기여대학사업 지원대학 67개교를 대상으로 중간평가를 실시한 결과 고대를 비롯한 10개대가 지원중단대학으로 결정됐다.

고대의 경우 학생부교과전형(학교추천Ⅰ)에서 면접 비중이 상당하다는 점, 채용사정관 규모가 당초 약속보다 적었다는 점이 반영됐다고 교육부는 밝혔다. 최근 가장 논란이 됐던 정시확대 여부는 내년 사업부터 반영할 방침으로 이번 중간평가에서는 고려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교육부는 지난달 고대가 정시30%확대 대신, 예외조항을 이용해 교과30% 확대를 택한 것을 두고 ‘교과전형을 30% 이상 모집하고 있는 대학은 자율로 한다’는 문구가 지방대에만 해당된 사항이라는 설명을 내놓으며 고대를 기여대학사업에서 제외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나서 논란이 되기도 했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53165&utm_source=TISTORY&utm_medium=social

 

고교교육기여사업 ‘고대 탈락’ 충격.. 추가선정 여부 촉각 - 베리타스알파

[베리타스알파=권수진 기자] 고교교육기여대학지원사업(이하 기여대학사업)에서 고려대가 결국 탈락했다. 교육부가 7일 발표한 ‘2019 고교교육기여...

www.veritas-a.com

'재수 권하고 교육특구 키우는 정시 포퓰리즘'..'고교정상화 역행을 지원하다니'


[베리타스알파=김경] 정부가 작년 8월 2022대입개편안을 발표하면서 '정시수능30%'의 전형구조를 권유, 30% 맞췄는지 여부를 고교교육기여대학사업(이하 기여대학사업)에 연계하겠다고 못박아 현장비난이 거세다. 기여대학사업을 통해 고교교육을 정상화한다는 명목아래 수시확대 정시축소를 권장해온 그간의 행보에서 갑자기 180도 돌변해 정시확대로 후진하겠다는 선언이기 때문이다. 수능30%로의 확대가 정량평가인 수능을 강조한 탓에 2015개정교육과정의 취지와 어긋난다는 교육적 우려 외에도, 정부가 사업비를 빌미로 대학에 압력을 넣은 꼴이라는 데서 현장에서는 '폭력적'으로까지 느낀다. 정부는 '권고'라 표현하지만 수능30%를 맞추지 않으면 정부의 기여대학사업에서 제외해 한 푼도 주지 않겠다는 협박이나 다름없어, 이를 수용할 수밖에 없는 현장은 굴욕감과 무기력함에 휩싸여 있다.

교육부는 내년 기여대학사업에 정시30%이상으로 확대했는지 여부를 지표로 삼겠다는 방침이다. 정부가 사업비를 빌미로 대학을 압박하겠다는 행태는 폭력적으로 받아들일 정도로 불편하지만, 무엇보다 기여대학사업의 초기 명칭인 '고교교육정상화기여대학사업'에서 알 수 있듯 수시학종 확대가 공교육 정상화에 기여한다는 발상을 교육부 스스로 뒤집은 결과, 즉 학원가에 편승한 교육특구 중심의 정시수능 확대가 공교육에 기여한다는 것으로밖에 이해되지 않는다는 데서 현장은 정권에 따라 교육이 좌지우지되는 현실에 무력감과 배신감이 팽배하다. 현 정부의 대선공약인 '국가교육위원회'가 세워지기도 전에 수 차례의 공론화를 통한 여론 다독이기에 불과한, 결국 이쪽 여론 저쪽 여론을 모두 반영해 학종도 아니고 수능도 아니며, 정책입안을 포퓰리즘에 편승하고 책임을 공론화에 떠넘긴 자기모순 자가당착의 결과라는 비판이 일 수밖에 없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47694&utm_source=TISTORY&utm_medium=social


‘정시30%’ 연계 내년반영 '여전한 논란'.. ‘학종 확대에서 내실화 겨냥’


[베리타스알파=권수진 기자] 고교교육 내실화를 목적으로 대학을 지원하는 ‘고교교육 기여대학지원사업’(이하 기여대학사업)이 학종 공정성 지표를 강화한다. 2022대입개편에서 학생부종합전형 공정성 강화를 위해 언급된 네 가지 과제를 추가선정평가 지표에 반영한다는 방침이다. 그간 학종 ‘확대’에 방점을 뒀다면, 올해부터는 학종 ‘내실화’에 중점을 둔다는 계획이다. 

추가선정평가에 신설된 지표는 △자소서 대필/허위작성 확인 시 의무적 탈락/입학취소 조치 △평가기준 공개 확대 △다수 입학사정관 평가 의무화 △공정성 관련 위원회에 외부위원 참여 등이다. 이에 따라 학생부종합전형 공정성 관련 배점도 29점에서 36점으로 7점 상향됐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베리타스 알파 기사 전문보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45796&utm_source=TISTORY&utm_medium=social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