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계열 8개교 203명, 영화/영상계열 4개교 56명, 체육계열 8개교 210명


[베리타스알파=강태연 기자] 예체능계열 학과에 진학 하기 위해선 실기고사가 필수처럼 생각되지만 비실기 전형을 운영하는 대학도 있다. 인문자연계열 공부를 하고 있지만 뒤늦게 예체능 계열 전공에 적성과 흥미를 찾은 학생들에게 기회가 있는 셈이다. 수능최저가 없는 곳도 있어 해당 학과에 꾸준한 관심을 갖고 있던 학생들에게도 가능성이 있는 전형이다.

2021학년 수시에서는 상위15개대(건국대 경희대 고려대 동국대 서강대 서울대 서울시립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연세대 이화여대 인하대 중앙대 한국외대 한양대) 중 11곳이 비실기 전형 예체능 계열 선발을 진행할 계획이다. 중복대학을 포함해 미술계열 8개교 203명, 영화/영상계열 4개교 56명, 체육계열 8개교 210명 모집이다. 학생부종합/교과와 논술 전형 등 선택지도 다양하다. 대신 학종의 경우 서류/면접을 통해 전공적합성을 드러내는 것이 평가의 관건인 만큼 희망 모집단위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전공과 관련된 관심과 경험 등을 전달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한 대학의 입학 관계자는 “학종의 경우 학생부가 예체능계열에 완벽히 맞춰져 있지 않더라도, 지원 자체를 포기할 필요는 없다. 자소서 등을 통해 충분한 보완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한 학생은 학생부가 동아리 활동을 비롯해 대부분 영어영문학과 관련 활동으로 이뤄졌었으나, 자소서에서 패션디자이너로서의 해외 진출이 목표이며 그에 대한 이해와 관심, 노력과정 등을 명확히 정리해 최종 합격했다”라며 “진로희망의 일관성 역시 필수적인 요소는 아니다. 고등학교 단계는 진로탐색기간이다. 얼마든지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진로희망이 바뀌는 것 자체를 저평가하지 않는다. 학생들은 진로탐색을 위해 꾸준히 노력했던 모습을 전달해주면 된다”고 설명했다.

<미술계열 비실기 전형.. 8개교>
2021전형계획을 살펴본 결과, 상위15개대 중 비실기 전형으로 미술계열을 선발하는 대학은 8개교다. 경희대 국민대 성균관대 서울대 연세대 인하대 중앙대 한양대 등이다. 중복대학을 포함해 전형별 구분 시 교과 3개교, 논술 1개교, 학종 8개교가 비실기 전형 선발을 실시한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1대입 #비실기예체능학과 #2021수시 #인하대 #중앙대 #한양대 #경희대 #국민대 #성균관대 #서울대 #연세대 #한국외대 #서울시립대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317773&utm_source=TISTORY&utm_medium=social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