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요강 재공개’.. 대학가 ‘고3 특별히 불리하지 않아’
[베리타스알파=손수람 기자] 올해 학종에 지원하려는 고3 수험생들은 악재가 끊이지 않으면서 무엇부터 대비해야 할 지 막막한 상태다. 교육부가 지난해 11월 수시의 공정성을 강화한다는 목적으로 시범운영도 없이 학종의 전면 블라인드를 강행한 데다, 올해 코로나19에 따른 혼란으로 ‘학생부 부실’까지 현실화되고 있다. 게다가 9일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이 고3 학생들을 배려하기 위한 입시 대책을 7월까지 내놓겠다고 밝힌 것도 오히려 역효과를 불러올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사실상 대학들이 현재 공지된 수시요강을 수정해 7월중으로 다시 발표해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수험생 입장에선 원서접수를 불과 두 달 앞둔 시점에 정확한 내용이 담긴 모집요강을 확인할 수 있는 셈이다.
현장에선 교육당국이 고교교육정상화를 위해 주력해온 학종의 무력화에 앞장서는 게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된다. 대입 사전예고제를 지키지 않으며 전형변화를 계속 유도해 학종의 평가방식을 왜곡하고 수요자 피해를 방치한다는 지적이다. 한 교육전문가는 “사실 교육부가 ‘학종 블라인드’를 도입한 배경부터 잘못됐다. 조국 전 법무부장관의 자녀 입시비리로 수시의 불공정성 논란이 커졌기 때문이다. 당시 문제가 된 것은 특기자전형이었지만, 엉뚱하게 학종으로 불똥이 튀었다. 여론을 등에 업은 교육부가 사전예고제를 무시하며 ‘대입 공정성 강화방안’에 따른 서류 블라인드를 올해 곧바로 밀어붙이자 대학가에선 학종 무력화에 대한 우려가 번졌다”며 “최근 교육부가 고3 수험생들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것 역시 비슷하다. 물론 코로나19로 인한 재학생의 배려가 필요해 보인다. 그렇지만 대학들은 모집요강을 다시 공지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수시 원서접수가 임박한 시기까지 수험생들이 '깜깜이 상태'에서 입시를 준비해야 하는 상황이 초래될 수 있다. 특히 비교과 반영이나 수능최저 완화 등 학종 전형의 변화를 지원자들이 미리 알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학종의 전형성격이 학생부교과전형과 비슷한 내신위주 전형이 될 수 있다는 시각도 나오지만, 평가방식의 변화에 수험생들이 크게 동요하지 않아도 된다는 게 대학 관계자의 설명이다. 애초부터 N수생보다 고3 재학생들이 유리한 학종의 입시지형 자체가 뒤집힐 가능성도 적다는 이유에서다. 고교 전체의 학생부를 활용하는 만큼 고1~2의 내용을 충실하게 준비해온 수험생들이라면 학종에서 충분히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는 얘기다. 한 대학 관계자는 등교개학 이후 참여할 수 있는 비교과 활동에 충실히 참여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조언도 덧붙였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1학생부종합전형대비법 #2021대입 #코로나19 #서류블라인드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대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위대 '고3 배려 대책' 속속공개.. 서울대 연대이어 고대 성대 중대 외대 동국대 (0) | 2020.06.15 |
---|---|
2021 LEET 지원 ‘역대 최대’ 1만2244명..7월19일 실시 (0) | 2020.06.14 |
서울대 지균 수능최저 완화.. ‘3개영역 3등급이내’ (0) | 2020.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