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주도성, 적성 보여주는 잣대'


[베리타스알파=권수진 기자] 2015개정교육과정의 도입에 따라 학종 평가와 연계한 ‘과목 선택’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진로목표와 적성에 따라 과목을 선택할 수 있게 되면서 전반적인 설계가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특히 학종에서는 선택과목을 통해 자기주도성과 적성을 함께 보여줄 수 있기 때문에 과목 선택권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대입정보포털 ‘어디가’에 탑재된 ‘2021학년 대입정보 119’에서는 대학 입시에서 과목 선택의 중요성을 학종 서류평가와 연계해 설명하고 있다. 여기에 각 대학이 발간한 학종 가이드북을 참고해 과목 선택의 방향성을 잡아볼 수 있다.

<학종과 연계한 2015개정교육과정.. ‘과목 선택’ 중요성 대두>
학종 평가요소의 큰 틀은 학업역량 전공적합성 인성 발전가능성으로 나뉜다. 그 중 학업역량 전공적합성이 과목 선택과 연관성이 크다. 학종서류평가와 선택과목의 연관성에 대해 대입정보포털 ‘어디가’에 탑재된 ‘2021학년 대입정보 119’ 기반으로 살펴보면 학업역량의 경우 학업성취도 학업태도및학업의지 탐구활동으로 세분화된다. 학업성취도 측면에서는 △희망 전공과 관련된 기본 과목은 어느 정도 이수했는지 △희망 전공과 관련해 도전적인 과제나 과목을 이수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는지 △희망 전공과 관련된 과목과 다른 과목의 성적 차이는 어느 정도인지 등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와 관련해 서울대의 경우 2021대입 교과이수기준에서 진로희망에 따른 과학Ⅱ과목 이수를 권장하고 있다. 학생의 도전적인 과목 이수를 권장한다고 볼 수 있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고등학교과목선택 #2021학년대입정보119 #어디가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