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경계열 '최다', 사회 법학 인문 공학 순.. 원서 10월5일부터 접수


[베리타스알파=강태연 기자] 2021 LEET 채점 결과가 공개되면서 2021로스쿨 입시가 본격적으로 개막한다. 법학전문대학원협의회(로스쿨협의회)는 지난달 19일 실시한 2021 법학적성시험(LEET) 채점결과를 18일 공개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법학계열 인원이 줄면서 사회계열 응시자가 법학계열 응시자를 넘어섰다. 법학계열 응시자 감소는 로스쿨 보유대학의 법대폐지로 인해 법대출신이 줄어든 영향이다. 반면 다른 계열에서는 취업난이 장기화되면서 대학 졸업자, 졸업예정자들은 전문직인 법조인을 선호하는 경향이 상승했다. 법학계열 응시자 비율은 2013학년 최고치를 기록하고 매년 하락하고 있는 반면, LEET 최근 응시인원은 3년연속 역대 최다를 기록하고 있다. 올해 지원자 1만2048명 가운데 언어이해영역은 1만1154명(92.6%), 추리논증영역은 1만1133명(92.4%)이 응시했다. 

올해 로스쿨 원서접수는 10월5일부터 8일까지 진행된다. 가군은 11월2일부터 15일까지, 나군의 경우 11월16일부터 29일까지 면접을 실시하며, 합격자 발표는 11월30일부터 12월11일까지다. 최초합격자 등록은 내년 1월4일과 5일 양일간 진행한다. 이후 학교별 일정을 통해 추가합격 일정이 진행된다.

2020학년까지는 2월말 기준 결원인원이 발생할 경우 각 로스쿨은 자체적으로 결원보충제를 통해 추가모집을 실시했다. 결원보충제는 로스쿨 개원 이후 신입생 미충원, 자퇴 등으로 인한 결원 충원을 위해 도입된 제도다. 2010학년 입시에서 첫 도입 후 기한을 연장해 2020학년까지 적용됐다. 다만 올해의 경우 제도를 운영하기 위해선 시행령 개정을 통한 연장이 필요하다. 다만 대한변호사협회(변협)는 결원보충제에 대해 변호사시험(변시) 응시생 증가로 이어진다며 반대해왔고, 법학전문대학원협의회는 미운영 시 재정적자 등의 문제와 편입학 허용 논란으로 이어진다며 제도연장과 영구적 운영을 주장하고 있다. 교육부는 “이미 법학전문대학원협의회(법전협)로부터 제도 연장에 대한 건의가 올라온 상황, 다각적 검토가 이뤄질 예정”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1LEET #2021로스쿨 #법학적성시험채점결과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원서 10월5일부터 8일까지.. 'LEET시행 이번 주말 19일'


[베리타스알파=권수진 기자] 2021학년 서울대 로스쿨 원서접수가 10월5일 시작된다. 올해 역시 가군에서 150명을 선발하며 일반전형 139명이내, 특별전형 11명이상을 모집한다. 모집인원이나 전형방법이 지난해에서 큰 변화 없이 그대로 유지된다. 

서울대 로스쿨은 2020학년 정성평가의 비중을 한 차례 확대했다. 정성평가의 확대 흐름은 2018년 서울대 로스쿨에서 열린 ‘로스쿨 10년의 성과와 개선방향’ 간담회에서 이미 방향성이 예고되기도 했다. 당시 간담회에 참석한 교수진은 정량평가 위주의 선발로 인해 로스쿨 구성원 다양성이 감소하고 있다면서 정성평가를 확대한 전형을 신설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2021 로스쿨 입시의 개막을 알리는 LEET(법학적성시험)은 7월19일 실시된다. 성적은 8월18일 발표된다. 올해 LEET 지원자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것에 비춰보면 올해 로스쿨 경쟁률이 상승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온다. 

<일반전형 139명 이내 선발.. 특별전형 ‘약자배려 성격>
일반전형은 139명 이내로 선발한다. 지원자격은 세 가지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한다. △국내외 대학에서 학사학위를 취득했거나 2021년 2월(3월에 졸업하는 외국대학 졸업자는 3월)에 취득 예정인 자, 또는 법령에 따라 이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지원서 접수마감일 10월8일 기준 1년 이내에 LEET에 응시해 성적을 제출한 자 △TEPS 또는 TOEFL 정기시험에서 일정 점수 이상의 성적을 취득해야 한다. TEPS는 600점 만점 기준 387점 이상이어야 하며 TOEFL은 IBT 99점 이상, PBT 597점 이상이어야 한다. 지원서 접수 마감일 기준 2년 이내에 취득해 구비서류 제출 마감일까지 제출한 성적만 유효하다. TEPS는 제255회(2018년 10월20일)부터 제292회(2020년 9월19일) 정기시험의 성적까지 유효하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1로스쿨 #서울대로스쿨 #2021서울대로스쿨전형일정 #로스쿨전형방법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로스쿨별 부산대 9명 1위.. 고대 성대 경북대 순


[베리타스알파=강태연 기자] 올해도 로스쿨 출신 신규검사 임용에서는 SKY학부 출신들의 비율이 가장 컸다. 올해 로스쿨 출신으로 역대 최다인 70명을 선발해 비율은 다소 전년 대비 감소했지만, 여전히 SKY학부 출신이 절반 이상인 38명이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따라 지난 9년간 검사임용자 461명 가운데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등 3개대학 출신은 295명으로 64%를 기록했다. 올해 신규임용된 검사 70명 중에서도 3개대학 출신이 절반 이상인 38명에 달한다. 물론 처음으로 로스쿨 출신 검사임용이 이뤄진 2012년에는 SKY출신 비율이 80%가 넘었던 것에 비교하면 완화된 편이지만, 아직 SKY 출신이 많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서울 소재 대학출신 쏠림 현상은 오히려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임용자가 나온 19개교 중 서울소재 대학이 14개교였고, 임용자 중 92.9%(65명)이 서울 소재 출신대학으로 나타났다. 전년 83.5%(46명)보다 대폭 상승했다.

올해 로스쿨별 순위는 9명을 배출한 부산대 로스쿨이 1위였다. 이어 고대(8명) 성대(7명) 경북대(6명) 순이다. 부산대(9명) 경북대(6명) 충남대(4명)등 지방로스쿨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출신로스쿨에서도 SKY비중이 완화되는 추세다. 누적 검사 임용자 391명 가운데 SKY로스쿨 출신은 194명으로 42.1%를 기록하며 전년 45.5%보다 다소 하락했다. 특히 올해는 SKY로스쿨에서 70명 중 16명을 배출해 감소세가 컸다.

하지만 여전히 SKY로스쿨 출신에게 기회가 더 많다는 시각은 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쏠림현상에 대한 통념으로 로스쿨 반수를 시도하는 재학생 수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로스쿨 재학생 LEET 재응시 비율은 2017학년 21.3%, 2018년 28.7%, 2019학년 32.3%의 추이로, 로스쿨 재학생 3명 중 1명은 반수를 하고 있는 셈이다. 특히 올해의 경우 코로나19 영향으로 인해 학교에서 수업이 진행되지 않자, 차라리 LEET를 재응시해 로스쿨을 옮기려는 인원도 적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재학생들이 LEET를 재응시하는 원인에는 학점세탁 등도 있지만 가장 큰 것은 SKY로스쿨 입학이라고 설명했다. 로스쿨 졸업 이후 로클럭, 대형로펌 등으로의 진출한 인원 중 SKY출신이 많다는 것은 이미 세간에 알려진 내용이다. 지방 소재 로스쿨에서는 장학금 등을 통해 학생들을 붙잡거나, 법학전문대학원협의회(법전협)의 경우 반수로 인한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장학금 중복수혜 등의 문제에 대한 대안을 마련했지만 쉽게 해결될 것으로 보이진 않는다. 로스쿨에 진학하는 인원 가운데 고소득층이 많다는 점에서 장학금이 큰 영향력을 가지지 못하고, 로스쿨을 옮기겠다는 학생들의 선택권과도 연결되기 때문이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1로스쿨 #2020검사임용자출신대학 #2020검사임용자출신로스쿨현황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로스쿨 원서접수 10월5일부터


[베리타스알파=강태연 기자] 올해 LEET(법학적성시험) 지원자는 역대최대인 1만2244명으로 확인됐다. 지난해보다 1083명이 증가했다. LEET 응시율은 2012년 이래 꾸준히 90%이상을 유지해왔다. 지난해의 경우 전체 지원자 1만1161명 중 92.2%인 1만291명이 응시했다. LEET 응시인원 증가로 로스쿨 경쟁률도 함께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의 경우 처음으로 응시자가 만 명이 넘으면서 로스쿨 전체 경쟁률이 전년보다 상승했다. 지난해 전국25개법전원(로스쿨) 경쟁률은 4.92대1로 전년 4.71대1보다 상승했다.

법학전문대학원협의회가 11일 발표한 ‘2021학년 법학적성시험 원서접수 마감현황’에 따르면 2년 연속으로 LEET 지원자 수가 갱신됐다. LEET 지원자는 2014학년 9126명을 기록한 이후로 2016학년까지 하락세를 유지하다가 2017학년부터 다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2014학년 이후 LEET 지원자는 2015학년 8788명, 2016학년 8246명, 2017학년 8838명, 2018학년 1만206명, 2019학년 1만502명, 2020학년 1만1161명이었다. 올해 지원인원은 역대 최대로 여겨진 지난해 지원자수보다 1000여 명 가량 늘어났다. 지원자가 상승하는 요인으로는 코로나로 인해 가중된 취업난의 영향이 컸을 것으로 분석된다.

LEET는 로스쿨 교육을 이수하는 데 필요한 수학 능력과 법조인으로서 지녀야 할 기본적 소양, 잠재적 적성을 가지고 있는지 측정하는 시험으로 전국 25개로스쿨에서 모두 필수전형요소로 활용하고 있다. 

<2021 LEET 지원자.. 남자/상경/25-30세 ‘최다’>
올해 LEET 지원자 1만2244명 가운데 남자는 6499명(53.08%), 여자는 5745명(46.92%)이다. 지난해보다 남자는 334명, 여자는 749명 증가했다. 이 중 경제적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응시수수료 면제를 신청한 인원은 총 456명이다.

접수자의 전공은 상경계열이 2652명(21.66%)으로 가장 많았고 사회2404명(19.63%) 법학2289명(18.69%) 순으로 톱3를 형성했다. 매년 최고비율을 기록하던 법학계열은 2013학년 53.2%로 정점을 찍고 지속적으로 비율이 감소하고 있다. 결국 지난해에는 상경계열이 21.64%를 기록하면서 법학계열(21.22%)이 두 번째로 많았다. 올해는 비율이 더 줄어 사회계열보다 낮아졌다. 비율이 점차 줄어들면서 2021학년 로스쿨 입학자는 2020학년 14.88%보다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1LEET #2021로스쿨 #법학적성시험 #법학전문대학원협의회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LEET 7월19일 시행.. 원서접수 10월5일부터


[베리타스알파=권수진 기자] 법학전문대학원협의회가 22일 2021학년 법학전문대학원(이하 로스쿨) 입학전형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2021 원서접수는 10월5일부터 8일까지며, 면접은 가군 11월2일부터 15일까지, 나군 11월16일부터 29일까지 대학별로 실시한다. 최초합격자는 11월30일부터 12월11일까지 학교별로 발표하고 등록은 내년 1월4일부터 5일까지다. 올해 LEET(법학적성시험)은 7월19일 실시한다. 원서접수기간은 5월26일부터 6월4일까지다. 

전국 25개 로스쿨 모집군/전형별 선발 인원은 군별로 가군 912명(45.6%), 나군 1088명(54.4%)이다. 전형별로는 일반 1846명(92.3%), 특별 154명(7.7%)으로 전년과 동일하다. 종로학원하늘교육 오종운 평가이사는 “2021 법학적성시험 및 로스쿨 지원자는 최근 추이를 볼 때, 법학적성시험에 1만명 이상 지원할 것으로 보이고, 25개교 로스쿨 평균 경쟁률도 5대 1안팎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사법고시가 폐지됨에 따라 로스쿨이 법조인이 되는 유일한 경로이고, 청년 취업난에 따른 대학 졸업(예정)자들의 법조인에 대한 전문직 선호 상승, 경제적 취약 계층의 응시자 증가 등에 의해 지원자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라고 분석했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1로스쿨 #로스쿨입학전형기본계획 #법학전문대학원 #종로학원하늘교육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