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강사 강의 소폭확대’.. ‘강사법 시행 영향 미미’
[베리타스알파=손수람 기자] 올해 1학기 상위15개대(건국대 경희대 고려대 동국대 서강대 서울대 서울시립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연세대 이화여대 인하대 중앙대 한국외대 한양대) 가운데 강의비율이 가장 높은 대학은 건국대였다. 건대는 현재 개설강의 학점 6755.8점 가운데 4381.1점을 전임교원이 담당하면서 강의비율이 64.8%로 나타났다. 이어 인하대 62.5%, 한대 60.8%, 경희대 60.5%, 서강대 59.6% 순으로 톱5다.
29일 대학알리미가 공개한 ‘2020년 교원 강의담당비율’에 의하면 상위15개대 기준으로 올해 1학기 전임교원의 강의비율은 하락했다. 지난해 1학기 57.6%에서 0.6%p 감소한 57%다. 반면 수업시수에 따라 월급을 받는 시간강사의 비율을 소폭 올랐다. 전년 23.7% 대비 1.8%p 상승한 25.5%다. 지난해 8월에 시행된 ‘고등교육법 개정안(이하 강사법)’에 따라 계약시기 이외에는 의미가 다르지 않은 ‘강사’와 ‘시간강사’를 합산해 비교한 결과다. 재정난을 겪는 대학들의 상황을 뒤로한 채 정치권과 교육당국이 일방적으로 추진한 법안의 효과에 의문이 제기되는 대목이다. 현장에선 애초부터 대학 필요에 따라 정해지는 교원 수급방식을 법으로 제약한 것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임교원 강의비율은 수험생들에게 대학별 교육환경을 판단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임교원의 강의비율이 높을수록 대학이 제공하는 교육의 질이 높다고 기대된다. 전임교원은 교수 부교수 조교수로 임용돼 대학에서 전일제로 근무하는 교원이다. 학과나 학부에 소속되지 않은 연구전담교수, 산학협력중점교수, 연구소 소속 교원도 포함된다. 반대로 시간강사 등 비전임교원의 강의비율 높다면 교육여건에 의문이 커진다. 반드시 비전임교원이 전임교원보다 질적으로 부족한 강의를 제공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그렇지만 불안정한 계약을 유지하는 비전임교원보다는 전임교원이 충실하게 강의를 준비할 여력이 크다는 얘기다. 따라서 수요자들은 전임교원의 강의비율은 대학이 제공하는 교육의 질적 수준을 가늠해볼 수 있다.
전국 4년제대학 196개교로 범위를 넓히면 전임교원 강의담당비율은 66.7%다. 지난해 1학기의 66.6%에 비해 0.1%p가 오른 결과다. 올해 1학기 전국 대학에서 총 30만8977개의 강좌가 개설됐다. 21명에서 50명 사이의 중규모 강좌가 15만4612개로 전체의 절반을 차지했다. 이어 20명 이하 소규모 강좌 11만3645개(36.8%), 51명 이상 대형강좌 4만720개(13.2%) 순이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임교원강의비율 #2021대입잣대 #건국대학교 #인하대학교 #한양대학교 #경희대학교 #서강대학교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대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전형계획] 약대35개교 '6년제 복귀' 유력.. '정원내 기준 1433명 되나' (0) | 2020.05.04 |
---|---|
[2022전형계획] 상위15개대 정시확대 39%.. 12개대 교과 신설 '고교추천 전형' (0) | 2020.05.03 |
고려대 ‘입시 필수 가이드’ 2021 학종평가 영상 공개.. 서류/면접 총망라 (0) | 2020.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