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대 학부선발 개시 '자연계 판도 변화예고'


[베리타스알파=권수진 기자] 현 고2가 치를 2022학년 대입 역시 정시 확대세를 이어간다. 소위 'SKY로 불리는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의 정시 모집인원이 4223명으로 12년만에 최대치를 기록한다. 정시가 가장 많이 늘어난 고려대는 914명으로 1682명(40.1%)  연대는 375명이 늘어 1512명(40.1%) 서울대는 293명이 늘어 1029명(30.1%)이다. 전문가들은 수시이월을 포함할 경우 2022 SKY정시가 전체인원의 절반에 육박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전체 대학 정시 규모는 2020학년 22.7%에서 2021학년 23%로 확대된 이후 2022학년 24.3%로 확대폭을 늘린 모습이다. 2022대입개편 결과 교육부가 각 대학에 정시30%를 권고했기 때문이다. 다만 교과전형을 30% 이상 선발하는 대학은 정시30%의 기준을 따르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전체 평균 정시 비중은 30%에 미치지 못한다. 

교육부가 2023학년까지 40% 이상으로 확대하도록 강제한 서울소재 16개대 건국대 경희대 고려대 광운대 동국대 서강대 서울시립대 서울대 서울여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숭실대 연세대 중앙대 한국외대 한양대는 2022학년 모두 정시를 30% 이상으로 확대했다. 특히 수험생 관심이 높은 고려대와 연세대는 40.1%까지 확대했다. 서울대는 전년 21.9%에서 2022학년 30.1%로 확대했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학입학전형위원회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전국 198개 4년제대의 2022학년 대학입학전형시행계획을 29일 발표했다. 이번 전형계획은 고등교육법 제34조의5에서 각 대학이 매 입학연도 1년10개월 전까지 대학입학전형시행계획을 수립/공표하도록 한 데 따른 것이다. 

2022학년 전체 모집인원은 34만6553명으로 2021학년보다 894명 줄었다. 2020학년 34만7866명, 2021학년 34만7447명, 2022학년 34만6553명 순으로 축소세다.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조치로 분석된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2대입 #SKY정시 #서울대정시 #고려대정시 #연세대정시 #약대학부선발 #수능선택과목 #2022전형일정 #현재고2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인문계열 수(가), 사/과탐, 제2외국어/한문 변환점수 활용


[베리타스알파=강태연 기자] 연세대가 2020정시에서 활용하는 수학과 탐구영역 변환점수표를 공개했다. 연대는 수(가)형과 탐구 영역 등의 점수 반영에 있어 수능성적표상의 백분위를 기반, 자체적으로 산출한 변환점수를 활용한다. 변환절차를 거치는 이유는 선택과목에 따른 유불리를 상쇄하기 위함이다. 특히 탐구영역의 경우, 과목별로 표점 만점이 다른 상황에서 표점을 그대로 반영 시 단순 과목선택에 따라 수험생들의 희비가 엇갈리는 일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학들은 탐구영역의 유불리 문제를 상쇄하기 위해 수능 성적표상 제시된 표준점수/백분위를 그대로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백분위에 따라 일정 점수를 부여해 적용하고 있다. 2019학년 수능에서 사탐의 경우 한국지리 세계사 표점 만점이 69점인 반면, 생활과윤리는 63점으로 격차가 있었다. ‘상대적’점수인 표점의 특성상 만점이 달리 나올 수 있는 상황에서 단순 표점을 반영하게 되면 학생 개개인의 학업역량/노력과는 관계없이 과목 선택에 따른 ‘복불복’ 유/불 리가 발생하게 된다. 대학들이 이를 조정하기 위해 그나마 표점부다는 유/불 리가 덜한 백분위를 활용해 다시금 점수체계를 설정하는 것이 변표의 본질이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연세대학교 #2020수능탐구 #변환표준점수 #2020대입 #연세대정시 #연세대변환표준점수 #2020연대정시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306455&utm_source=TISTORY&utm_medium=social



‘최상위권 공력’ 대성 예상합격점수.. 고대의대 685.8점, 연대의예 723.7점


[베리타스알파=윤은지 기자] 영역별 변환표준점수와 대학 자체 환산식까지 적용한 서울대 최종 예상합격점수는 경영 410.9점, 의예 409.8점(600점 만점)으로 예측됐다. 최상위권 수험생을 대거 보유한 대성학원이 내놓은 예상합격선이다. 고려대 경영은 683.5점, 의대는 685.8점(1010점 만점), 연세대 경영은 741.3점, 의예는 723.7점(1010점 만점)이면 합격권에 들 것으로 전망했다. 

정시 지원전략의 기본은 대학별 환산점수다. 서울대 고대 연대를 비롯한 대부분 대학이 수능100%의 전형방법을 운영하기 때문이다. 수능이 끝나자마자 사교육 공교육 할 것 없이 대학별 원점수, 표준점수 기준 예상합격선을 내놨지만 최종적으로 고려해야 할 지표는 변환표준점수를 반영한 예상합격선이다. 동일한 점수라도 각 대학의 수능 영역별 반영비율과 변표에 따라 환산점수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베리타스 알파 기사 전문보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38463&utm_source=TISTORY&utm_medium=social


인문계열 수(가), 사/과탐, 제2외국어/한문 변환점수 활용


[베리타스알파=유수지 기자] 연세대가 2019정시에서 활용하는 수학과 탐구영역 변환점수표를 14일 공개했다. 연대는 수학(가)형과 탐구 영역 등의 점수 반영에 있어 수능성적표상의 백분위를 기반, 자체적으로 산출한 변환점수를 활용한다. 변환절차를 거치는 이유는 선택과목에 따른 유불리를 상쇄하기 위해서다. 특히 탐구영역의 경우, 과목별로 표점 만점이 다른 상황에서 표점을 그대로 반영할 경우 단순 과목선택에 따라 수험생들의 희비가 엇갈리는 일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학들은 탐구영역의 유불리 문제를 상쇄하기 위해 수능 성적표상 제시된 표준점수/백분위를 그대로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백분위에 따라 일정 점수를 부여해 적용하고 있다. 실제로 올해 수능에서 사탐의 경우 한국지리 세계사 표점 만점이 69점인 반면, 생활과윤리는 63점으로 격차가 있었다. ‘상대적’ 점수인 표점의 특성 상 만점이 달리 나올 수 있는 상황에서 단순 표점을 반영하게 되면 학생 개개인의 학업역량/노력과는 관계없이 과목 선택에 따른 ‘복불복’ 유/불리가 발생하게 된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