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수입료 102억


[베리타스알파=권수진 기자] 지난해 대학이 가진 창의적 자산을 산업계에 이전해 달성한 수입료가 가장 많았던 대학은 KAIST였다. 대학알리미가 6월 공시한 ‘기술이전 수입료 및 계약 실적’ 현황에 따르면 KAIST는 지난 한 해 56건의 기술이전으로 약 102억원의 수입료를 올렸다. 서울대 고려대 성균관대 경희대 순으로 톱5였다.

기술이전 수입료는, 기술료, 연구개별성과를 실시하는 권리를 획득한 대가로 실시권자(기업)가 연구개발성과를 소유한 기관(대학)에 지급하는 금액을 의미한다. 총장 또는 산합협력단장 명의로 체결한 기술이전 계약에 한한다. 기술이전 실적은 계약서 체결 여부를 기준으로 한다. 개발이 완료된 기술을 매매하거나 실시권을 허락한 경우에 한한다. 기술자문(컨설팅, 기술지도 포함), 산업체 공동연구, 인력교류 등 개발이 완료되지 않은 기술의 이전은 제외한다.

올해 공시는 2019년 1월1일부터 12월31일까지 체결된 기술이전 계약서를 근거로 한 기술 이전 건수를 공시했다. 1개 계약서 내에 다수 기술이 포함된 경우에도 1건으로 본다. 수입료는 기술이전 계약 체결을 근거로 조사연도에 수취한 실수입료를 말한다. 계약을 체결한 연도와는 상관없이 조사연도에 실제적으로 입금된 금액에 한한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술이전 #산학협력 #KAIST #서울대 #고려대 #성균관대 #경희대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