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수시 반도체 계약학과 '3파전'.. 기존 성대에 고연대 합류
성대 70명 고대 30명 연세대 50명..'학비/보조금에 취업 보장'
[베리타스알파=강태연 기자] 기존 반도체 계약학과를 선발하던 성균관대에 이어 올해부터 고려대 연세대도 반도체 계약학과 선발에 합류했다. 반도체 계약학과는 2006년 성대가 모기업인 삼성전자와 협약을 통해 처음 신설됐다. 이후 2019년 정부의 반도체분야 인재양성 대책인 '시스템반도체 비전과 전략'이 상위대학 확대의 계기가 됐다. SKY는 물론 이공계특성화대학까지 관심을 보였지만 협약체결까지 진행돼 2021학년 선발을 실시하는 곳은 고려대 연세대 2개 대학에 그쳤다. 지난해 4월 연세대는 삼성전자 협약을 맺었고, 고려대는 10일 SK하이닉스와 '채용조건형 반도체공학과' 신설 협약을 맺었다. 이에 따라 2021학년 기존 성대는 시스템반도체학과 정원외 70명(수시52명/정시18명), 신규 고대 반도체공학과는 정원외 30명(수시25명/정시5명), 또다른 신규 연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는 정원외 50명(수시40명/정시10명)을 선발한다.
지난해 4월 산업통상자원부와 교육부 등 9개정부부처는 반도체분야 인재양성을 위한 대책으로 ‘시스템반도체 비전과 전략’을 발표했다. 성장정체로 메모리에 비해 취약한 시스템반도체 분야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조치였다. 목표는 2030년까지 시스템반도체 학부생 3400명을 포함해 전문인력 1만7000명 육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난해 연세대와 고려대에 반도체 계약학과를 신설해 정원외로 80명을 모집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계약학과에 입학한 학생들에겐 등록금 지원과 졸업후 채용우대 등이 제공된다. 학부생이 이수할 경우 대학에서 전문성이 인증되는 전공트랙 등 교육적 지원도 마련한다.
서울대도 지난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와 협업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었지만, 내부 반발과 기존 학칙과의 충돌로 계약학과 신설로 이어지지 못했다. 대신 공과대학과 자연대학을 중심으로 하는 '인공지능형 시스템반도체(가칭) 연합전공' 신설로 방향을 틀었다. 반도체학과 신설은 무산됐지만, 연합전공 과정 개설로 반도체 인재육성에 나설 계획으로 알려졌다. 이르면 2021학년 1학기부터 신청자를 선발할 수 있을 것이라 밝혔지만 아직 이후 진행된 방향은 공개되지 않았다. 과기원의 경우 지난해 반도체 계약학과 신설이 이슈됐을 당시 기업과의 협약이 진행되는 듯 했으나, 학과개설까지 진전이 이뤄지진 않았다. 하지만 과기원은 무학과전형으로 선발해 1학년말에 계약학과를 진행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상태라 기업과 협약체결시점에 곧바로 추진될 수 있다는 점에서 계약학과 신설가능성은 여전히 열려있다는 게 전문가들 시각이다.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1대입 #성균관대 #고려대 #연세대 #반도체계약학과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