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장' '면제'없는 서울대 등록금 부담될까.. '교외장학금 1위에 다양한 혜택 충분'
'장학금/학자금 지원 안내 홈페이지' 감면혜택 가늠자
[베리타스알파=유수지 기자] 서울대생이 지원받을 수 있는 장학금은 어떤 것이 있을까. 수험생/학부모가 지원대학을 결정할 때는 성적과 학교 선호도는 물론, 등록금 역시도 주요 고려 사항이 되곤 한다. 하지만 대학별 등록금 금액을 단순 비교하기 보다는, 대학의 장학금 혜택 등을 함께 고려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장학금을 통해 등록금 전액이 면제될 수도 있는 만큼, 등록금의 금액 차이만 보고 원하는 대학에 입학을 포기할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서울대의 경우도 지난해 기준 입학등록금이 300만5600원으로 국공립대 가운데 낮은 편은 아니었지만, 지원받을 수 있는 장학금도 상당한 규모를 보였다. 특히 서울대는 교외장학금 지급 비율이 해마다 상위대학 가운데 1위를 기록하고 있다. 가장 최근 자료인 2017년 기준, 국가장학금을 제외한 교외장학금으로만 한 해 125억6068만4000원이 지원됐다. 2017년 재학생 1만6158명으로 환산하면 1인당 교외장학금 77만7000원을 제공받은 셈이다. 2위 고려대 32만6000원, 3위 연세대 32만4000원과 비교했을 때 2배가 넘는 수치다. 2016년은 1인당 교외장학금 격차가 더 컸다. 서울대83만원 고려대33만원 연세대31만원 순이었다. 2015년에도 서울대77만원 연세대34만원 서강대31만원의 추이로 서울대가 1위에 자리했었다.
한 교육전문가는 "교외장학금은 지급주체가 장학금을 지급할만한 학문적/사회적 역량을 갖췄다고 판단한 학생에게 수여하기 때문에 우수학생이 많은 서울대가 1위 자리를 공고히 하고 있다. 서울대도 '장학금/학자금 지원 안내' 홈페이지를 통해 교외장학금 안내에 적극 나서는 이유다"라며 "해마다 자연계열 상위권 학생들 가운데 서울대와 KAIST 등 이공계특성화대에 동시 합격한 경우, 가계 사정을 고려해 등록금 면제 혜택이 많은 이공계특성화대에 등록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하지만 서울대 역시 지원 받을 수 있는 장학금이 다양한 만큼, 단순히 등록금 문제로 서울대를 포기할 필요는 없다. 소득분위가 낮은 학생의 경우 사실상 등록금을 내지 않는 경우가 더 많기 때문이다"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베리타스 알파 해당기사 전체내용보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57408&utm_source=TISTORY&utm_medium=social
'특장' '면제'없는 서울대 등록금 부담될까.. '교외장학금 1위에 다양한 혜택 충분' - 베리타스알파
[베리타스알파=유수지 기자] 서울대생이 지원받을 수 있는 장학금은 어떤 것이 있을까. 수험생/학부모가 지원대학을 결정할 때는 성적과 학교 선호도...
www.veritas-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