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표 수리고 교장 “서로 다른 학생들이 만나꽃으로 피어나는 학교”
[베리타스알파=박대호 기자] 교육계에선 교장이 방향타를 제대로 잡고 있다면 불리한 여건인 일반고도 충분히 성과를 낼 수 있다는 말이 있다. 경기 군포에 자리한 수리고는 능력있는 교장 한 명의 존재로 ‘일반고의 위기’를 극복해 낸 대표적인 사례다. 2016년 9월 김종표 교장이 부임한 후 수리고는 말 그대로 ‘약진’ 중이다. 한 명도 없던 서울대 실적이 7명으로 크게 뛴 것만 보더라도 알 수 있다. 아직 김 교장이 부임한 지 만 2년도 되지 않았단 점에서 향후 실적이 더 기대되는 상황이다.
김 교장이 낸 성과를 설명하는 데는 자타가 공인하는 ‘교육과정 전문가’란 점과 이번이 ‘두 번째’ 교장이란 점을 빼놓을 수 없다. 김 교장은 교사 시절 경기교육청 장학사로 자리를 옮겨 교육과정 담당을 맡았고, 이후 평촌고 교감을 지내던 중 2007 개정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연거푸 나오면서 다시 교육과정 담당 장학사를 지냈다. 이후 안양 관양고 교장으로 자리를 옮겨 4년간 재직, 전국 100대 교육과정 최우수 고교에 선정돼 전국은 물론이고 중국 등에서도 벤치마킹 차원에서 관양고를 방문하는 성과를 이뤘다. 이후 교육청 장학관으로 자리를 옮겼다가 다시금 현장으로 돌아온 것이 수리고 교장직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도입됐지만, 수능과의 괴리, 고교학점제의 실현 가능성 불투명 등 여러 문제점이 산적해 있는 상황이란 점을 고려하면 교육과정 전문가이자 진학 전문가인 김 교장이 선장으로 있는 수리고는 더욱 크게 날개를 펼 준비가 된 셈이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사진=김종표 수리고 교장
<베리타스알파 기사 바로가기>